맨위로가기

주부 국제공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부 국제공항은 일본 아이치현 도코나메시 앞바다에 있는 해상 공항으로, 2005년 2월 17일에 개항했다. 나고야시에서 약 35km 떨어진 인공 섬에 위치하며,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활주로를 갖추고 있다. 국제선과 국내선 노선을 모두 운영하며, 특히 저비용 항공사(LCC) 전용 터미널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일본의 주요 공항 중 하나로, 관제탑, 여객 터미널, 화물 지구, 비즈니스 제트기 시설, 상업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환경 보호를 위한 노력과 국제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다양한 TV 드라마, 영화, 게임 등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치현의 공항 - 나고야 비행장
    나고야 비행장(고마키 공항)은 아이치현 고마키시에 위치한 일본의 공항으로, 과거 나고야 공항으로 운영되다가 중부 국제공항 개항 후 국내선 중심으로 운영되며, 항공자위대 기지와 활주로를 공유하고 여러 항공 사고의 현장이기도 하다.
  • 2005년 개항한 공항 - 존 A. 오스본 공항
    존 A. 오스본 공항은 2005년 개항하여 화산 폭발로 파괴된 W. H. 브램블 공항을 대체하는 몬트세랫의 관문으로, 활주로 아래에 터널이 있는 카리브해 유일의 공항이며, 존 오스본의 공로를 기려 이름이 변경되었고 플라이몬트세랫 항공사가 거점으로 사용한다.
  • 주부 국제공항 - 메이테쓰 공항선
    메이테쓰 공항선은 주부 국제공항 접근성 향상을 위해 건설된 총 4.2km의 나고야 철도 및 주부 국제공항 연락 철도 노선으로, 1067mm 협궤, 복선 전철화, 자동 폐색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3개 역을 운영하며 특급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운행 형태를 제공한다.
  • 주부 국제공항 - 주부 국제공항역
    주부 국제공항역은 아이치현 도코나메시에 위치한 나고야 철도 공항선 철도역으로, 주부 국제공항 터미널 빌딩과 직접 연결되어 공항 접근성을 높이며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정차하고, 개업 이후 2면 3선 구조 확장, IC 카드 도입 등 변화를 거쳐 공항 이용객과 지역 주민에게 중요한 교통 거점 역할을 한다.
주부 국제공항
지도 및 위치 정보
2009년 항공 사진, 터미널 2와 플라이트 오브 드림 건설 이전
2009년 항공 사진, 터미널 2와 플라이트 오브 드림 건설 이전
기본 정보
공항 이름주부 센트레아 국제공항
로마자 표기Chubu Kokusai Kūkō
위치아이치현 도코나메시
모도시주쿄 광역권
개항일2005년 2월 17일
운영 시간24시간
소유주주부국제공항 주식회사 (CJIAC)
웹사이트주부 센트레아 국제공항 공식 웹사이트
면적471.3 ha
해발 고도3.7 m
운항 정보
허브 공항전일본공수
일본항공
폴라에어 카고
중점 도시제트스타 재팬
활주로 정보
활주로 번호18/36
활주로 길이3,500 m
활주로 표면콘크리트/아스팔트 콘크리트
활주로 계기 착륙 시설II/III b
통계 (2018년)
승객12,043,636 명
화물199,140 톤
항공기 운항 횟수96,591 회
기타 정보
IATA 코드NGO
ICAO 코드RJGG

2. 역사

나고야 중심부에서 남쪽으로 약 35km, 지타 반도의 아이치현 도코나메시 앞바다 약 1.5km의 이세만 해상의 인공 섬에 위치하고 24시간 운용이 가능한 길이 3,500m의 활주로를 가진, 간사이 국제공항에 이어 일본 국내 제2의 해상 공항으로 2005년 2월 17일에 개항했다.[275][276][277] 나리타 국제공항, 간사이 국제공항과 함께 국제 항공 노선에 필요한 국제 거점 공항으로 그 항공 수요를 담당할 것을 나라의 항공 정책 평가된다.

국제 항공 운송 협회(IATA)보다 혼잡 공항으로서 국내의 간사이 국제공항, 신치토세 공항과 함께 수준 2의 지정을 받고 있다. IATA공항 코드는 NGO에서 개항 전에 나고야 공항(코마키)에서 사용되던 것을 계승하고 있다.

항공 업계의 평가 회사인 스카이트랙스의 공항 종합 평가 조사에서 공항 시설, 공항 직원 등에 의한 서비스 제공 수준이 세계 최고 수준인 "5스타 포트"(THE WORLD'S 5-STAR AIRPORTS)으로 인정 받고 있다("5스타 포트"인정 공항은 이 공항을 포함 세계에 7공항). 또 2019년 3월 스카이트 랙스는 세계의 공항의 등급을 매기고"더·월즈·베스트·에어 포트·오브·2019"에서 2018년 제7위에서 순위를 올리고 홍콩 국제 공항에 이어 제6위로 선출하고"세계 제일의 지방 공항"으로도 선출했다.

건조물의 평가에서는 "주부 국제공항 여객 터미널 빌딩"이 그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천 등이 평가된 2005년 굿 디자인 어워드(건축·환경 디자인 부문-건축 디자인)수상 작품이다.

애칭인 "'''센트레아'''(Centrair)" 은 영어로 중부 지방을 뜻하는 central와 공항을 뜻하는 airport를 조합한 조어로 일반 공모 중 선정됐다. 상표로 등록되고 있으며(상표 등록 번호: 제4566713호 외), 공항 섬의 주소 표기(동명)공항 내의 시설 명칭 등에 부가되어 있다. 또 비행장 이름 표지에 필요한 공항의 영어 명칭에도 사용되면서 항공 교통 관제의 해당 공항의 무선 교신의 호출 명칭에도 "센트레아 타워""센트 레아 접근"처럼 사용되며 호출 명칭에 공항 설치 이전의 지명이 아닌 명칭을 사용하는 국내 유일의 사례로 약칭으로 중부 공항, 중부로 일컬어지는 것도 있으며, 시간표나 발착 안내에서 도시 이름과 병기할 때는 나고야 공항(코마)와 명확히 구별하기 위해"나고야(중부)"등으로 기술된다.

주부 국제공항의 JAL과 ANA 운항


=== 개항 전 ===

1985년 주부 국제공항 건설을 위한 조사가 시작되었다.[84] 1989년 3월, 이세 만 동부 지역이 공항 후보지로 결정되었다.[85] 1997년 정부 예산에 주부국제공항 사업비가 편성되었다. 1998년 5월 1일 중부국제공항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2000년 8월 1일 공항섬 건설이 본격적으로 착공되었고,[86] 같은 해 8월 19일 주부국제공항 기공식이 열렸다.[87] 2001년 공항섬 매립 공사가 시작되었고, 2002년 1월 6일 터미널 빌딩 공사가 시작되었다.

2004년 6월 24일 국토교통성 항공국의 항공기가 비행장 검사를 위해 처음으로 착륙했다. 같은 해 10월 5일 터미널 빌딩이 준공되었다.

2005년 1월 29일 나고야 철도 공항선이 개통되었다. 같은 해 2월 12일 훈련을 위해 전일본공수 항공기가 여객기로서 처음 착륙했고,[90] 2월 14일 뮌헨 국제공항과 자매 결연을 맺었다.[73]

일본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권인 나고야시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은 주요 제조업 중심지로서, 토요타 자동차 주식회사의 본사와 생산 시설, 그리고 미쓰비시 자동차와 미쓰비시 항공기(Mitsubishi Aircraft Corporation)의 생산 시설이 위치해 있다.[4] 기존 나고야 비행장의 화물 처리 능력은 지역 경제의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았고, 아이치현의 주거 지역에 위치한 공항은 항공기 운항 횟수와 운영 시간에 제약을 받았다. 토요타와 같은 지역 기업들의 24시간 화물 운송에 대한 로비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약 1000억 엔을 절감했다.[5] 펜타오션 건설이 주요 시공사였다.[6]

일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야쿠자 조직인 야마구치구미의 하위 조직인 고도카이는 Samix라는 페이퍼 컴퍼니를 통해 공항 건설 프로젝트에 필요한 흙, 돌, 모래, 자갈을 독점적으로 공급하여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 여러 Samix 임원들이 공갈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기소는 나중에 취소되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고도카이는 나고야 경찰 내에 정보원을 두고 조직에 내부 정보를 제공하여 수사 당국보다 한 발 앞서 나갈 수 있었다.[7]

=== 개항 후 ===

2005년 2월 17일, 주부 국제공항이 정식 개항했다. 같은 해 3월 25일에 개막하는 2005년 일본 국제 박람회(아이치 엑스포)의 하늘의 현관 역할을 담당했다.[91]

개항 이후, 2005년 2월 22일 노스웨스트 항공 72편 타이어 파열로 첫 활주로가 폐쇄되었고, 7월 3일 유압 계통 문제로 콘티넨탈 미크로네시아 975편이 처음으로 긴급 착륙했다.[4] 2006년 5월 25일 개항 후 첫 결산에서 흑자를 달성했다.[4]

2019년 9월 20일 제2터미널이 개항했다.[103]

=== 신 터미널 정비 ===

2013년 1월, 주부 국제공항의 본격적인 저비용 항공사(LCC) 원년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을 감안하여, 주부 국제공항 주식회사 사장인 가와카미 히로시는 "이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센트레아의 편리성도 높아진다"며 환영하고, 저비용 항공사의 신규 취항에 대응하기 위해 신 터미널 건설 구상을 굳혔다는 보도가 있었다.[109] 그 후, 같은 해 3월 29일 공식 사이트에서 "센트레아 남쪽 지구 정비 사업"이라고 칭한 계획을 공식적으로 공표했다.[110] 건설 예정지는 국제선 터미널 남쪽에 있는 주차장 부근이다. 국내선과 국제선을 일체 운영할 수 있는 터미널을 건설한다고 밝혔으며, LCC가 주기하는 부근에 스폿 증설 및 신 터미널 이용자용 주차장도 함께 정비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 설비 증설에 따라 기존 터미널 빌딩을 "제1 터미널"로 하고, 신 터미널을 "제2 터미널"로 하는 계획이었다. "제2 터미널"은 주로 저비용 항공사 용이지만, 저비용 항공사 외의 항공사도 사용하는 것으로 했다.[111] 비용 절감을 철저히 하는 "도요타 방식"으로 편리성이 높은 저렴한 구조의 터미널로 하는 구상으로, 보딩 브리지를 사용하지 않고 타랩을 사용한 탑승·강강이 될 것이다. 동사에는 이미 "터미널 기획 팀"이 발족되었고, 사장 가와카미는 언론에 대해 "간사이 국제공항, 나리타 국제공항 다음 터미널이 되므로 독자성을 낼 것이다. 다만 간사이 국제공항의 좋은 점은 도입하고 싶다"고 설명했다.[112] 터미널이 완성되면, 시설 사용료의 저감이 이루어지므로, 항공사 및 여객에게도 메리트가 크다는 논평도 나오고 있다.[112] 저비용 항공사 각 사는, 신 터미널이 완성될 때까지 기존 터미널을 사용할 예정이지만, 빠르면 2013년 여름에 착공하여 2014년 후반부터 운용 개시를 예정하고 있었다. 또한, 이 시점에서 국내선에 취항하고 있던 저비용 항공사는 2사 모두 당 공항을 거점 공항의 하나로 하는 방침이기도 했다.

2016년 3월 31일, 저비용 항공사(LCC)용 신 터미널을 2019년 상반기 운용 개시를 목표로 현재 임시 주차장 구역에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2016년도는 신 터미널의 정비 규모, 평면 계획 등의 시설 계획에 착수했다.[113] 향후에는 주부 국제공항을 거점으로 2017년 초 운항 예정인 에어아시아 재팬(2014-) 등 저비용 항공사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항공기를 격납하는 경우의 주기 스폿 증설 등 공항 시설면에서 설비 투자를 진행했다. 2017년 3월 31일에, LCC용 터미널의 2017년 5월에 착공·2019년 9월 20일에 정식 운용 개시가 시작되었다.[114]

주부 국제공항 제2 터미널


제2 터미널 빌딩 내부


=== 2번째 활주로 정비 구상 ===

2007년 8월 간사이 국제공항 2기 공사 한정 사용 후, 나리타 국제공항 및 간사이 국제공항이 각각 활주로 2본을 가지는 데 반해, 주부 국제공항은 활주로 1본으로 경쟁 조건에서 불리하다고 주부 국제공항 주식회사와 지역 재계는 생각하고 있으며, 2본째 활주로 정비 실현을 요구하고 있다.[118] 2015년 초부터 중국으로부터의 일본 관광 붐도 순풍이 되어, 복수의 노선을 신설 및 재개한 중국동방항공이나 중국남방항공 등의 외에도 춘추항공 등의 국외 저가 항공사(LCC)의 본격 진출이 시작되었다. 일본의 주부 호쿠리쿠 9현의 자치단체, 관광 관계 단체, 관광 사업자 등이 협력하여 국내외로의 홍보 활동을 하고 있으며, 서서히 인지도를 높이는 데 성공하고 있다. 미에현이세 신궁이나, 기후현의 히다타카야마로의 남북 관광 루트를 이미지한 주부 호쿠리쿠권 광역 관광 프로젝트 '승룡도' 구상 구체화 시기가 겹쳤다. 이 해부터 헬싱키-반타 공항 노선을 증편한 핀에어 등의 구미 노선을 포함해, 주부 국제공항에서 일본에 입국하는 외국인 입국자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건설 공사 착공이 연기되고 있는 신 터미널과 함께, 제2 활주로 건설의 조기 건설의 필요성을 지적하는 업계 단체도 존재한다.[119]

2본째 활주로를 정비하는 구체적인 활주로 연장 등의 사양은 미정이나, 증설될 공항 섬의 조성 작업에는 나고야항준설토를 유효 활용하는 안이 제기되고 있다.

주부 국제공항 주식회사의 구상에 따르면, 매립으로 공항 섬의 면적을 약 200ha 확장한 후 현재의 활주로에서 300m 떨어진 곳에 3,500m의 평행 활주로를 1본 신설한다고 하며, 사업비는 약 2,000억 엔으로 예상된다고 한다.[120] 또한, 2007년 6월 21일에 발표된 일본 국토교통성 교통정책심의회 항공분과회의의 답신[121]에서는, '완전 24시간화를 검토'라는 간접적인 표현이면서도, 2본째 활주로 정비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주부 국제공항은 간사이 국제공항의 건설 공사 실적을 참고하여 건설되었기 때문에, 간사이 국제공항과 비교하면 저비용으로 동 규모의 공항 섬·시설을 조성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설령 2본째의 활주로를 조성하더라도, 후술할 준설토의 유효 활용도 생각하면 저예산으로 2기 공항 섬을 건설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게다가 이 구상과 관련된 화제로, 나고야항에는 준설토의 문제가 수년 동안 존재한다. 현재 준설토사 처분장인 포트 아일랜드(나고야항 중앙 방파제)는 이미 처리량의 한계를 넘었으며, 처분지가 결정되지 않은 토사는 현지에 산을 쌓아 가(假)치하는 응급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높이는 16m에 달하며, 신규 처분지의 확보가 과제가 되고 있다. 주부 국제공항의 확장에 이용하는 안을 제1 후보로, 관할하는 지방정비국은 제반 조건이 갖추어지도록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122][123] 이 일환으로 2014년 4월 14일에, 매립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도코나메항 주변에서 어업 영향 조사가 시작된다.[124]

2021년 1월 29일, 매립을 계획하고 있는 주부 지방정비국은, 어업에 영향을 받는 아이치미에 양현의 어협과 계속해 오던 보상 협의에서 합의했다. 반 년 정도 걸려 필요한 절차를 진행하고, 2022년도 중에는 매립 공사에 착수한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2024년 주부 센트레아 국제공항 제2 활주로 건설 준비를 시작했다. 새로운 3290m 길이의 활주로는 현재 활주로에서 동쪽으로 210m 떨어진 곳에 건설될 예정이다. 건설은 2025년에 시작하여 2027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2021년 12월, 오무라 히데아키 아이치현 지사는 공항에 2개의 새로운 활주로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기존 활주로의 동쪽에 3290m 길이의 활주로를 2027년에 완공하고, 공항 서쪽의 매립지 확장 공사 이후에는 3500m 길이의 활주로를 건설하여 기존 활주로를 대체할 예정이다.[15]

=== 공항 접근성 강화 ===

오무라 히데아키 아이치현 지사는 주부 국제공항으로의 도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공항섬과 반대편을 잇는 연락교를 현재 1개에서 2개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두 번째 활주로 계획과 관련이 있으며, 활주로 증설 시 발착 능력이 현재의 1.5배가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항공 여객 수요 회복 및 피크 시간대 대응을 염두에 둔 조치이다.

=== 상업 사업 확대 ===

2018년, 첫 번째 프로토타입 보잉 787 드림라이너를 전시 중심지로 하는 "Flight of Dreams"라는 시애틀 테마의 상업 시설이 문을 열었다.[20] 보잉(Boeing)은 시애틀에서 시작되었으며, 많은 항공기가 여전히 이 지역에서 제작된다. 보잉 787의 일부 부품은 일본에서 생산되어 최종 조립을 위해 시애틀로 항공 운송된다.

2016년 3월 31일, 보잉사로부터 2015년 6월 22일에 기증받은 보잉 787의 비행 시험기 "ZA001"호기[126][127]에 관해, 해당 기체의 실내 전시를 핵심으로, 음식 및 판매점 등을 운영하는 복합 상업 시설을 정비하는 것이 공표되었다[128]。이후 상세 검토가 이루어져, 2016년 11월 9일, "보잉 787 1호기를 중심으로 한 복합 상업 시설"의 시설 명칭 및 콘셉트와 전시 구역의 상세 내용, 그리고 시설 명칭인 "FLIGHT OF DREAMS"가 공표되었다[129]。이 시설은 2018년 10월 12일에 개업했다.

  • 시설 개요
  • * 정비 주체:중부 국제공항
  • * 건설지:남쪽 입체 주차장 인접지
  • * 공용 개시 시기:2018년 10월 12일
  • * 건물 개요:건축 면적 약 5,000m2, 연면적:약 10,000m2, 높이:약 24m, 층수:지상 3층, 구조:철골 구조


2. 1. 계획

1985년 주부 국제공항 건설을 위한 조사가 시작되었고, 1989년 공항 후보지로 이세 만 동부 지역이 결정되었다.[81] 1997년 정부 예산에 주부국제공항 사업비가 편성되었으며, 1998년 5월 1일 주부국제공항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81] 2000년 8월 1일 공항섬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81] 같은 해 8월 19일 주부국제공항 기공식이 열렸다. 2001년 공항섬 매립 공사가 착공되었으며, 2002년 1월 6일 터미널 빌딩 건설이 시작되었다.[81]

아이치현의 주요 공항이었던 나고야 비행장은 21세기 초 공항 용량 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시가지에 위치하여 확장이 어려웠고, 항공기 소음 문제로 이착륙 시간에 제약이 있었다.[81] 이러한 이유로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국제 거점 공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웠고, 증가하는 항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신공항 건설이 필요했다.

도코나메시 앞바다 이세 만을 매립하여 인공섬을 조성하고 공항 부지 등을 정비하는 방식으로 건설이 진행되었다.[82][83] 주부 국제공항은 나리타 국제공항, 간사이 국제공항에 이은 국제 거점(허브) 공항으로 지정되었다.[81] 2004년 6월 24일 국토교통성 항공국의 항공기가 비행장 검사를 위해 첫 착륙을 하였고, 2004년 10월 5일 터미널 빌딩이 준공되었다.

야마구치구미의 하위 조직인 고도카이는 Samix라는 페이퍼 컴퍼니를 통해 공항 건설에 필요한 자재를 독점 공급하여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는 일본 언론 보도가 있었다.[7]

2. 2. 연표

1985년 주부 국제공항 건설을 위한 조사가 시작되었다.[84] 1989년 이세 만 동부 지역이 공항 후보지로 결정되었다.[85] 1997년 정부 예산에 주부국제공항 사업비가 편성되었다. 1998년 5월 1일 중부국제공항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2000년 8월 1일 공항섬 건설이 본격적으로 착공되었고,[86] 같은 해 8월 19일 주부국제공항 기공식이 열렸다.[87] 2001년 공항섬 매립 공사가 시작되었고, 2002년 1월 6일 터미널 빌딩 공사가 시작되었다.

2004년 6월 24일 국토교통성 항공국의 항공기가 비행장 검사를 위해 처음으로 착륙했다. 같은 해 10월 5일 터미널 빌딩이 준공되었다.

2005년 1월 29일 나고야 철도 공항선이 개통되었다. 같은 해 2월 12일 훈련을 위해 전일본공수 항공기가 여객기로서 처음 착륙했고,[90] 2월 14일 뮌헨 국제공항과 자매 결연을 맺었다.[73] 2월 17일 정식 개항했다. 같은 해 2월 22일 노스웨스트 항공72편 타이어 파열로 개항 후 첫 활주로 폐쇄되었고, 7월 3일 유압 계통의 문제로 인해서 콘티넨탈 미크로네시아 975편이 개항 후 첫 긴급 착륙했다. 2006년 5월 25일 개항 후, 첫 결산으로 흑자 달성했다.

2019년 9월 20일 제2터미널 개항했다.

2. 2. 1. 개항 전

1985년 주부 국제공항 건설을 위한 조사가 시작되었다.[84] 1989년 3월, 이세 만 동부 지역이 공항 후보지로 결정되었다.[85] 1997년 정부 예산에 주부국제공항 사업비가 편성되었다. 1998년 5월 1일 중부국제공항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2000년 8월 1일 공항섬 건설이 본격적으로 착공되었고,[86] 같은 해 8월 19일 주부국제공항 기공식이 열렸다.[87] 2001년 공항섬 매립 공사가 시작되었고, 2002년 1월 6일 터미널 빌딩 공사가 시작되었다.

2004년 6월 24일 국토교통성 항공국의 항공기가 비행장 검사를 위해 처음으로 착륙했다. 같은 해 10월 5일 터미널 빌딩이 준공되었다.

2005년 1월 29일 나고야 철도 공항선이 개통되었다. 같은 해 2월 12일 훈련을 위해 전일본공수 항공기가 여객기로서 처음 착륙했고,[90] 2월 14일 뮌헨 국제공항과 자매 결연을 맺었다.[73]

일본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권인 나고야시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은 주요 제조업 중심지로서, 토요타 자동차 주식회사의 본사와 생산 시설, 그리고 미쓰비시 자동차와 미쓰비시 항공기(Mitsubishi Aircraft Corporation)의 생산 시설이 위치해 있다.[4] 기존 나고야 비행장의 화물 처리 능력은 지역 경제의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았고, 아이치현의 주거 지역에 위치한 공항은 항공기 운항 횟수와 운영 시간에 제약을 받았다. 토요타와 같은 지역 기업들의 24시간 화물 운송에 대한 로비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약 1000억 엔을 절감했다.[5] 펜타오션 건설이 주요 시공사였다.[6]

일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야쿠자 조직인 야마구치구미의 하위 조직인 고도카이는 Samix라는 페이퍼 컴퍼니를 통해 공항 건설 프로젝트에 필요한 흙, 돌, 모래, 자갈을 독점적으로 공급하여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 여러 Samix 임원들이 공갈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기소는 나중에 취소되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고도카이는 나고야 경찰 내에 정보원을 두고 조직에 내부 정보를 제공하여 수사 당국보다 한 발 앞서 나갈 수 있었다.[7]

2. 2. 2. 개항 후

1985년 주부 국제공항 건설 조사가 시작되었다.[4] 1989년 공항 후보지로 이세 만 동부 지역이 결정되었고, 1997년 정부 예산에 주부국제공항 사업비가 포함되었다.[4] 1998년 5월 1일 주부국제공항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4] 2000년 8월 1일 공항섬이 본격적으로 착공되었고, 8월 19일 기공식이 열렸다.[4] 2001년 공항섬 매립 공사가 시작되었고, 2002년 1월 6일 터미널 빌딩이 착공되었다.[4]

2004년 6월 24일 국토교통성 항공국의 항공기가 비행장 검사를 위해 처음 착륙했고, 10월 5일 터미널 빌딩이 준공되었다.[4] 2005년 1월 29일 나고야 철도 공항선이 개통되었고, 2월 12일 훈련을 위해 전일본공수 항공기가 여객기로서 처음 착륙했다.[4] 2월 14일 뮌헨 국제공항과 자매 결연을 맺었고, 2월 17일 정식으로 개항했다.[4] 같은 해 3월 25일에 개막하는 2005년 일본 국제 박람회(아이치 엑스포)의 하늘의 현관 역할을 담당했다.[91]

개항 이후, 2005년 2월 22일 노스웨스트 항공 72편 타이어 파열로 첫 활주로가 폐쇄되었고, 7월 3일 유압 계통 문제로 콘티넨탈 미크로네시아 975편이 처음으로 긴급 착륙했다.[4] 2006년 5월 25일 개항 후 첫 결산에서 흑자를 달성했다.[4]

2019년 9월 20일 제2터미널이 개항했다.[103]

주부 센트레아는 일본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권인 나고야시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 위치해 있다.[4] 이 지역은 주요 제조업 중심지로서, 토요타 자동차 주식회사의 본사와 생산 시설, 그리고 미쓰비시 자동차와 미쓰비시 항공기(Mitsubishi Aircraft Corporation)의 생산 시설이 위치해 있다.[4]

토요타와 같은 지역 기업들의 24시간 화물 운송에 대한 로비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약 1000억 엔을 절감했다.[5] 펜타오션 건설이 주요 시공사였다.[6]

일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야쿠자 조직인 야마구치구미의 하위 조직인 고도카이는 Samix라는 페이퍼 컴퍼니를 통해 공항 건설 프로젝트에 필요한 흙, 돌, 모래, 자갈을 독점적으로 공급하여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7]

2. 3. 향후 기능 강화 계획 및 구상

2013년 1월, 주부 국제공항 주식회사 사장 가와카미 히로시는 저비용 항공사(LCC)의 신규 취항에 대응하기 위해 신 터미널 건설 구상을 굳혔다고 보도되었다.[109] 이후, 같은 해 3월 29일 "센트레아 남쪽 지구 정비 사업"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110] 국제선 터미널 남쪽에 국내선과 국제선을 일체 운영할 수 있는 터미널을 건설하고, LCC 주기장 부근에 스폿 증설 및 신 터미널 이용자용 주차장도 함께 정비하는 계획이었다. 기존 터미널 빌딩은 "제1 터미널", 신 터미널은 "제2 터미널"로 명명되었다. "제2 터미널"은 주로 저비용 항공사 용이지만, 다른 항공사도 사용한다.[111] 도요타 방식을 도입하여 저렴한 구조의 터미널로 만들고, 보딩 브리지 대신 타랩을 사용한 탑승·강하를 계획했다. 가와카미 사장은 간사이 국제공항, 나리타 국제공항의 장점을 도입하여 독자성을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112]

2016년 3월 31일, 저비용 항공사(LCC)용 신 터미널을 2019년 상반기 운용 개시를 목표로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에어아시아 재팬(2014-) 등 저비용 항공사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주기 스폿 증설 등 설비 투자를 진행했다.[113] 2017년 3월 31일, LCC용 터미널을 2019년 9월 20일에 정식 운용 개시하였다.[114]

2007년 8월 간사이 국제공항 2기 공사 이후, 주부 국제공항은 활주로 1본으로 경쟁에서 불리하다고 판단하여, 주부 국제공항 주식회사와 지역 재계는 2번째 활주로 정비 실현을 요구하고 있다.[118] 2015년 초부터 중국 관광객 증가와 저가 항공사(LCC)의 진출, '승룡도' 구상 구체화 등으로 외국인 입국자 수가 증가하면서, 제2 활주로 건설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119]

구체적인 활주로 연장 등의 사양은 미정이나, 나고야항준설토를 활용하는 안이 제기되고 있다. 주부 국제공항 주식회사의 구상에 따르면, 공항 섬 면적을 약 200ha 확장하고 현재 활주로에서 300m 떨어진 곳에 3,500m의 평행 활주로를 신설하며, 사업비는 약 2,000억 엔으로 예상된다.[120] 2007년 6월 21일, 일본 국토교통성 교통정책심의회 항공분과회의 답신[121]에서는 2번째 활주로 정비의 필요성이 간접적으로 나타났다.

주부 국제공항은 간사이 국제공항 건설을 참고하여 저비용으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2번째 활주로 조성에도 저예산으로 가능하다는 의견이 있다. 나고야항 준설토 문제 해결을 위해, 주부 국제공항 확장에 준설토를 활용하는 안이 제1 후보로, 2014년 4월 14일 도코나메항 주변에서 어업 영향 조사가 시작되었다.[122][123][124]

2021년 1월 29일, 주부 지방정비국은 아이치・미에 양현 어협과 보상 협의에 합의했다. 2022년도 중 매립 공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2024년 주부 센트레아 국제공항 제2 활주로 건설 준비를 시작했다. 3290m 길이의 활주로는 현재 활주로에서 동쪽으로 210m 떨어진 곳에 건설될 예정이며, 2025년에 착공하여 2027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2021년 12월, 오무라 히데아키 아이치현 지사는 공항에 2개의 새로운 활주로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기존 활주로 동쪽에 3290m 길이의 활주로를 2027년에 완공하고, 공항 서쪽 매립지 확장 공사 이후 3500m 길이의 활주로를 건설하여 기존 활주로를 대체할 예정이다.[15]

오무라 히데아키 아이치현 지사는 주부 국제공항으로의 도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공항섬과 반대편을 잇는 연락교를 현재 1개에서 2개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두 번째 활주로 계획과 관련, 항공 여객 수요 회복 및 피크 시간대 대응을 염두에 둔 조치이다.

2018년, 보잉 787 드림라이너 프로토타입을 전시하는 시애틀 테마의 상업 시설 "Flight of Dreams"가 문을 열었다.[20] 보잉(Boeing)은 시애틀에서 시작되었으며, 많은 항공기가 이 지역에서 제작된다. 보잉 787의 일부 부품은 일본에서 생산되어 시애틀로 항공 운송된다.

2016년 3월 31일, 보잉사로부터 기증받은 보잉 787 비행 시험기 "ZA001"호기[126][127]를 전시하는 복합 상업 시설 정비가 발표되었다.[128] 2016년 11월 9일, 시설 명칭 "FLIGHT OF DREAMS"가 발표되었고,[129] 2018년 10월 12일에 개업했다.

  • 시설 개요
  • * 정비 주체:중부 국제공항
  • * 건설지:남쪽 입체 주차장 인접지
  • * 공용 개시 시기:2018년 10월 12일
  • * 건물 개요:건축 면적 약 5,000m2, 연면적:약 10,000m2, 높이:약 24m, 층수:지상 3층, 구조:철골 구조


2. 3. 1. 신 터미널 정비

2013년 1월, 주부 국제공항의 본격적인 저비용 항공사(LCC) 원년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을 감안하여, 주부 국제공항 주식회사 사장인 가와카미 히로시는 "이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센트레아의 편리성도 높아진다"며 환영하고, 저비용 항공사의 신규 취항에 대응하기 위해 신 터미널 건설 구상을 굳혔다는 보도가 있었다.[109] 그 후, 같은 해 3월 29일 공식 사이트에서 "센트레아 남쪽 지구 정비 사업"이라고 칭한 계획을 공식적으로 공표했다.[110] 건설 예정지는 국제선 터미널 남쪽에 있는 주차장 부근이다. 국내선과 국제선을 일체 운영할 수 있는 터미널을 건설한다고 밝혔으며, LCC가 주기하는 부근에 스폿 증설 및 신 터미널 이용자용 주차장도 함께 정비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 설비 증설에 따라 기존 터미널 빌딩을 "제1 터미널"로 하고, 신 터미널을 "제2 터미널"로 하는 계획이었다. "제2 터미널"은 주로 저비용 항공사 용이지만, 저비용 항공사 외의 항공사도 사용하는 것으로 했다.[111] 비용 절감을 철저히 하는 "도요타 방식"으로 편리성이 높은 저렴한 구조의 터미널로 하는 구상으로, 보딩 브리지를 사용하지 않고 타랩을 사용한 탑승·강강이 될 것이다. 동사에는 이미 "터미널 기획 팀"이 발족되었고, 사장 가와카미는 언론에 대해 "간사이 국제공항, 나리타 국제공항 다음 터미널이 되므로 독자성을 낼 것이다. 다만 간사이 국제공항의 좋은 점은 도입하고 싶다"고 설명했다.[112] 터미널이 완성되면, 시설 사용료의 저감이 이루어지므로, 항공사 및 여객에게도 메리트가 크다는 논평도 나오고 있다.[112] 저비용 항공사 각 사는, 신 터미널이 완성될 때까지 기존 터미널을 사용할 예정이지만, 빠르면 2013년 여름에 착공하여 2014년 후반부터 운용 개시를 예정하고 있었다. 또한, 이 시점에서 국내선에 취항하고 있던 저비용 항공사는 2사 모두 당 공항을 거점 공항의 하나로 하는 방침이기도 했다.

2016년 3월 31일, 저비용 항공사(LCC)용 신 터미널을 2019년 상반기 운용 개시를 목표로 현재 임시 주차장 구역에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2016년도는 신 터미널의 정비 규모, 평면 계획 등의 시설 계획에 착수했다.[113] 향후에는 주부 국제공항을 거점으로 2017년 초 운항 예정인 에어아시아 재팬(2014-) 등 저비용 항공사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항공기를 격납하는 경우의 주기 스폿 증설 등 공항 시설면에서 설비 투자를 진행했다. 2017년 3월 31일에, LCC용 터미널의 2017년 5월에 착공·2019년 9월 20일에 정식 운용 개시가 시작되었다.[114]

2. 3. 2. 2번째 활주로 정비 구상

2007년 8월 간사이 국제공항 2기 공사 한정 사용 후, 나리타 국제공항 및 간사이 국제공항이 각각 활주로 2본을 가지는 데 반해, 주부 국제공항은 활주로 1본으로 경쟁 조건에서 불리하다고 주부 국제공항 주식회사와 지역 재계는 생각하고 있으며, 2본째 활주로 정비 실현을 요구하고 있다.[118] 2015년 초부터 중국으로부터의 일본 관광 붐도 순풍이 되어, 복수의 노선을 신설 및 재개한 중국동방항공이나 중국남방항공 등의 외에도 춘추항공 등의 국외 저가 항공사(LCC)의 본격 진출이 시작되었다. 일본의 주부 호쿠리쿠 9현의 자치단체, 관광 관계 단체, 관광 사업자 등이 협력하여 국내외로의 홍보 활동을 하고 있으며, 서서히 인지도를 높이는 데 성공하고 있다. 미에현이세 신궁이나, 기후현의 히다타카야마로의 남북 관광 루트를 이미지한 주부 호쿠리쿠권 광역 관광 프로젝트 '승룡도' 구상 구체화 시기가 겹쳤다. 이 해부터 헬싱키-반타 공항 노선을 증편한 핀에어 등의 구미 노선을 포함해, 주부 국제공항에서 일본에 입국하는 외국인 입국자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건설 공사 착공이 연기되고 있는 신 터미널과 함께, 제2 활주로 건설의 조기 건설의 필요성을 지적하는 업계 단체도 존재한다.[119]

2본째 활주로를 정비하는 구체적인 활주로 연장 등의 사양은 미정이나, 증설될 공항 섬의 조성 작업에는 나고야항준설토를 유효 활용하는 안이 제기되고 있다.

주부 국제공항 주식회사의 구상에 따르면, 매립으로 공항 섬의 면적을 약 200ha 확장한 후 현재의 활주로에서 300m 떨어진 곳에 3,500m의 평행 활주로를 1본 신설한다고 하며, 사업비는 약 2,000억 엔으로 예상된다고 한다.[120] 또한, 2007년 6월 21일에 발표된 일본 국토교통성 교통정책심의회 항공분과회의의 답신[121]에서는, '완전 24시간화를 검토'라는 간접적인 표현이면서도, 2본째 활주로 정비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주부 국제공항은 간사이 국제공항의 건설 공사 실적을 참고하여 건설되었기 때문에, 간사이 국제공항과 비교하면 저비용으로 동 규모의 공항 섬·시설을 조성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설령 2본째의 활주로를 조성하더라도, 후술할 준설토의 유효 활용도 생각하면 저예산으로 2기 공항 섬을 건설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게다가 이 구상과 관련된 화제로, 나고야항에는 준설토의 문제가 수년 동안 존재한다. 현재 준설토사 처분장인 포트 아일랜드(나고야항 중앙 방파제)는 이미 처리량의 한계를 넘었으며, 처분지가 결정되지 않은 토사는 현지에 산을 쌓아 가(假)치하는 응급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높이는 16m에 달하며, 신규 처분지의 확보가 과제가 되고 있다. 주부 국제공항의 확장에 이용하는 안을 제1 후보로, 관할하는 지방정비국은 제반 조건이 갖추어지도록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122][123] 이 일환으로 2014년 4월 14일에, 매립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도코나메항 주변에서 어업 영향 조사가 시작된다.[124]

2021년 1월 29일, 매립을 계획하고 있는 주부 지방정비국은, 어업에 영향을 받는 아이치미에 양현의 어협과 계속해 오던 보상 협의에서 합의했다. 반 년 정도 걸려 필요한 절차를 진행하고, 2022년도 중에는 매립 공사에 착수한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2024년 주부 센트레아 국제공항 제2 활주로 건설 준비를 시작했다. 새로운 3290m 길이의 활주로는 현재 활주로에서 동쪽으로 210m 떨어진 곳에 건설될 예정이다. 건설은 2025년에 시작하여 2027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2021년 12월, 오무라 히데아키 아이치현 지사는 공항에 2개의 새로운 활주로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기존 활주로의 동쪽에 3290m 길이의 활주로를 2027년에 완공하고, 공항 서쪽의 매립지 확장 공사 이후에는 3500m 길이의 활주로를 건설하여 기존 활주로를 대체할 예정이다.[15]

2. 3. 3. 공항 접근성 강화

오무라 히데아키 아이치현 지사는 주부 국제공항으로의 도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공항섬과 반대편을 잇는 연락교를 현재 1개에서 2개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두 번째 활주로 계획과 관련이 있으며, 활주로 증설 시 발착 능력이 현재의 1.5배가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항공 여객 수요 회복 및 피크 시간대 대응을 염두에 둔 조치이다.

2. 3. 4. 상업 사업 확대

2018년, 첫 번째 프로토타입 보잉 787 드림라이너를 전시 중심지로 하는 "Flight of Dreams"라는 시애틀 테마의 상업 시설이 문을 열었다.[20] 보잉(Boeing)은 시애틀에서 시작되었으며, 많은 항공기가 여전히 이 지역에서 제작된다. 보잉 787의 일부 부품은 일본에서 생산되어 최종 조립을 위해 시애틀로 항공 운송된다.

2016년 3월 31일, 보잉사로부터 2015년 6월 22일에 기증받은 보잉 787의 비행 시험기 "ZA001"호기[126][127]에 관해, 해당 기체의 실내 전시를 핵심으로, 음식 및 판매점 등을 운영하는 복합 상업 시설을 정비하는 것이 공표되었다[128]。이후 상세 검토가 이루어져, 2016년 11월 9일, "보잉 787 1호기를 중심으로 한 복합 상업 시설"의 시설 명칭 및 콘셉트와 전시 구역의 상세 내용, 그리고 시설 명칭인 "FLIGHT OF DREAMS"가 공표되었다[129]。이 시설은 2018년 10월 12일에 개업했다.

  • 시설 개요
  • * 정비 주체:중부 국제공항
  • * 건설지:남쪽 입체 주차장 인접지
  • * 공용 개시 시기:2018년 10월 12일
  • * 건물 개요:건축 면적 약 5,000m2, 연면적:약 10,000m2, 높이:약 24m, 층수:지상 3층, 구조:철골 구조


3. 시설

T자형 건물 접합부에 위치한 도착 메인 홀


주부 국제공항의 공항섬 항공 사진.


아이치현 국제 전시장


공항의 설치·운영은 정부 지정의 특수 회사인 주부 국제공항 주식회사(Central Japan International Airport Co., Ltd., CJIAC)가 수행한다. 착공 전까지는 「주부 지역의 새로운 국제공항」이라는 의미를 담아 「'''주부 신 국제공항'''」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일본에서 처음으로 민간 주도로 개발되었다. 국내 해상 공항의 선구자인 간사이 국제공항 건설 후에 문제가 된, 공항섬 침하 문제나 건설비 폭등 등의 교훈을 충분히 고려하여 후발 주자로서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건설되었다.

매립지의 면적은 5.80km2(남북 4.3km, 동서 1.9km)이다. 이 중 공항 부분은 4.73km2이다. 나머지 1.07km2는 아이치현 기업청이 지역 개발 용지로서, 공항 대안부의 1.30km2와 함께 조성한 「주부 린쿠 도시(린쿠 토코나메역 포함)」이다.

공항 대안부에서 앞섬이라고 불리는 지타반도 측의 신규 매립지에는 멘타이 파크 토코나메 (2012년 12월 개점[130]), 회원제 창고형 매장 코스트코 (2013년 8월 개점[131]), 대규모 쇼핑몰 「이온 몰 토코나메」 (2015년 12월 개점. 외국인 여행객을 위한 면세 대응 가능[132]) 등이 입점해 있다[133]

공항섬의 공항 인접지(토코나메시 센트레아 4초메, 5초메) 내에 아이치현이 아이치현 국제 전시장 (전시 면적: 60,000m2)을 2019년 가을까지 정비하기로 하였으며, 아이치현은 기본 설계비를 2016년 6월 보정 예산으로 계상했다[134]。국제 전시장은 2019년에 완공되어, 같은 해 8월 30일에 개업했다[135]

3. 1. 비행장 시설


  • 운영 시간: 24시간 / 이용 시간: 24시간[136]
  • 활주로: 1본, 길이: 3,500m × 폭: 60m[137]
  • 방향: 진방위 N11도 W
  • 유도로 : 연장 약 10.2km, 폭 30m
  • 계류장 : 계류대 수 87개[138][139]
  • 대형기: B747/B777/A380/A340 외, 중형기: B767/B787/A330/A350 외, 소형기: B737/A320/ERJ170/CRJ700 외. A380에 대해서는 2014년 및 2016년에 정기편 운항 실적이 있다.
  • 국토교통성 항공국(JCAB) 비행 검사 센터: 세스나 사의 사이테이션 CJ4기가 상주하며, 전국 공항에 대한 각종 검사를 담당한다. 2014년, 이전 거점이었던 도쿄 국제공항(하네다 공항)에서 주부 국제공항 화물 지구로 이전하여 발족했다[190].


== 관제탑 ==

원형의 관제탑으로, 제1 터미널(T1)의 북동쪽에 위치한다. 활주로 끝까지 조망할 수 있는 높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계산된 결과, 높이 86.75m(철골 콘크리트조 5층 건물)가 되었다.[140]。2009년 시점에서는 국내에서 도쿄 국제공항, 나리타 국제공항 다음으로 높은 높이였다.[141]

또한, 주부 국제공항에서의 항공 관제는 간사이 국제공항과 마찬가지로 광역 항공 관제를 실시하고 있다. 그 관제 구역은 주부 국제공항 발착 항공기뿐만 아니라, 아이치현, 기후현, 미에현을 중심으로 약 6개 현에 걸쳐 광범위하다. 관제 구역 내에는 나고야 비행장, 항공자위대 고마키 기지(아이치현니시카스가이군도요야마정 외), 항공자위대기후 기지(기후현가카미가하라시) 등이 있으며, 터미널 레이더 관제 (레이더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접근 관제 업무)에 의해 해당 공역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상승·강하 지시, 비행 경로 등의 지시, 관제 간격 제어 등을 수행하고 있다.[76][142]

기존에는 항공로 관제와 트래픽 조정을 통해 비행 고도를 허가해야 했지만, 주부 관제에서 12,000ft까지는 항공기에 대해 상승 허가가 주어지도록 되었다.

관제탑 내에는 최신 디지털 기기 및 액정 디스플레이를 도입하여 기존보다 다채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IFR실의 경우 레이더 화면에 액정 디스플레이를 도입함으로써 조명을 끄지 않아도 되게 되었다.

3. 1. 1. 관제탑

원형의 관제탑으로, 제1 터미널(T1)의 북동쪽에 위치한다. 활주로 끝까지 조망할 수 있는 높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계산된 결과, 높이 86.75m(철골 콘크리트조 5층 건물)가 되었다.[140]。2009년 시점에서는 국내에서 도쿄 국제공항, 나리타 국제공항 다음으로 높은 높이였다.[141]

또한, 주부 국제공항에서의 항공 관제는 간사이 국제공항과 마찬가지로 광역 항공 관제를 실시하고 있다. 그 관제 구역은 주부 국제공항 발착 항공기뿐만 아니라, 아이치현, 기후현, 미에현을 중심으로 약 6개 현에 걸쳐 광범위하다. 관제 구역 내에는 나고야 비행장, 항공자위대 고마키 기지(아이치현니시카스가이군도요야마정 외), 항공자위대기후 기지(기후현가카미가하라시) 등이 있으며, 터미널 레이더 관제 (레이더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접근 관제 업무)에 의해 해당 공역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상승·강하 지시, 비행 경로 등의 지시, 관제 간격 제어 등을 수행하고 있다.[76][142]

기존에는 항공로 관제와 트래픽 조정을 통해 비행 고도를 허가해야 했지만, 주부 관제에서 12,000ft까지는 항공기에 대해 상승 허가가 주어지도록 되었다.

관제탑 내에는 최신 디지털 기기 및 액정 디스플레이를 도입하여 기존보다 다채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IFR실의 경우 레이더 화면에 액정 디스플레이를 도입함으로써 조명을 끄지 않아도 되게 되었다.

3. 2. 여객 터미널

wikitext

=== 제1 터미널 (T1) ===

제1 터미널(T1)은 국내선과 국제선이 일체형인 단일 구조(국내선과 국제선을 동일 층의 좌우로 분리)이다. 3층은 출발, 2층은 도착으로 하는 단순한 2층 구성으로 국내선과 국제선의 환승객 편의성이 높은 터미널 빌딩 구조라는 점과, 그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천 등이 평가되어 2005년 굿 디자인상 (건축·환경 디자인 부문 - 건축 디자인)을 수상했다.[143][144][145]

센터 피어를 사이에 두고 북쪽 윙(국내선), 남쪽 윙(국제선)이 배치된 종이학을 이미지한 T자형 구성이며, 여객의 이동 거리가 짧다는 특징이 있다. 도착은 2층 부분, 출발은 3층 부분에 통합되어 있으며, 체크인 카운터에서 탑승 게이트까지 약 300m로 가깝다. T자형 형상에 맞춘 스폿 배치는 계획 시 항공 관계자를 포함하여 검토를 진행했으며, 입구부의 기재 운용에 약간의 제약이 있다. 2015년부터 국제선 시설을 남쪽으로 확대하기 위해 원격 주기장 증설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2016년도 중에 완공될 예정이다.[146]

터미널 북쪽은 국내선, 남쪽은 국제선으로 각각 전용 발권 카운터, 보안 검색대, 수하물 컨베이어 벨트가 있으며, 국제선의 경우 출입국 관리소와 세관 시설이 있다. 도착은 2층에서, 출발은 3층에서 처리된다. 하부층은 유지 보수, 케이터링 및 기타 지상 운영에 사용되며, 공항 램프 중간에 있는 원격 주기장까지 승객을 수송하는 버스에도 사용된다. 국내선은 13개의 게이트(버스 게이트 3개 포함)가 있으며, 국제선은 14개(버스 게이트 3개 포함)가 있다.

  • 국제선 시설은 총 2층 건물 여객기 A380-800에도 대응하며, 2014년 8월 9일, 13일 및 2016년 8월 10일, 14일에는 싱가포르 항공의 정기편이 A380형 기종으로 운항되었다. 또한, 2017년 3월 1일부터 25일까지 타이 국제항공의 정기편이 A380형 기종으로 운항되었다.[147]
  • 전망 데크: 활주로를 향해 크게 돌출된 총 길이 300m의 야외 전망 데크 '스카이 데크'가 설치되어 있다.
  • * 스카이 데크에서는 이세만을 사이에 두고 미에현의 이세 평야나 스즈카 산맥을, 북쪽으로는 나고야의 시가지를, 동쪽으로는 온타케산과 에나산을 조망할 수 있다.
  • 동계 일루미네이션: 매년 동계에는 전망 데크에서 다채로운 대규모 일루미네이션이 장식 전시된다.

주부 국제공항 터미널 빌딩 개략 배치도


=== 제2 터미널 (T2) ===

2019년 9월 20일 저비용 항공사(LCC) 전용 터미널로 사용을 개시했다.[113][157][158] 나리타 국제공항간사이 국제공항에 이어 일본의 3대 도시권 국제 거점 공항 모두에 저비용 항공사 전용 터미널이 정비되었다.

터미널 2는 저가 항공사의 국내선 및 국제선 항공편을 모두 처리하며, 국제선 11개, 국내선 9개의 게이트가 있다.[18] 터미널 1과 2를 연결하는 셔틀 버스가 운행된다.[19]

제2터미널에서 제1터미널, 그리고 주부 국제공항역까지의 이동은 도보로만 가능하며, 약 10분 정도가 소요된다. 또한, 탑승 및 하차 위치가 가장 먼 경우에는 제2터미널 내 도보 이동도 포함되어 20분 가까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환승 등에 주의해야 한다.

3. 2. 1. 제1 터미널 (T1)

제1 터미널(T1)은 국내선과 국제선이 일체형인 단일 구조(국내선과 국제선을 동일 층의 좌우로 분리)이다. 3층은 출발, 2층은 도착으로 하는 단순한 2층 구성으로 국내선과 국제선의 환승객 편의성이 높은 터미널 빌딩 구조라는 점과, 그 유니버설 디자인의 실천 등이 평가되어 2005년 굿 디자인상 (건축·환경 디자인 부문 - 건축 디자인)을 수상했다.[143][144][145]

센터 피어를 사이에 두고 북쪽 윙(국내선), 남쪽 윙(국제선)이 배치된 종이학을 이미지한 T자형 구성이며, 여객의 이동 거리가 짧다는 특징이 있다. 도착은 2층 부분, 출발은 3층 부분에 통합되어 있으며, 체크인 카운터에서 탑승 게이트까지 약 300m로 가깝다. T자형 형상에 맞춘 스폿 배치는 계획 시 항공 관계자를 포함하여 검토를 진행했으며, 입구부의 기재 운용에 약간의 제약이 있다. 2015년부터 국제선 시설을 남쪽으로 확대하기 위해 원격 주기장 증설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2016년도 중에 완공될 예정이다.[146]

터미널 북쪽은 국내선, 남쪽은 국제선으로 각각 전용 발권 카운터, 보안 검색대, 수하물 컨베이어 벨트가 있으며, 국제선의 경우 출입국 관리소와 세관 시설이 있다. 도착은 2층에서, 출발은 3층에서 처리된다. 하부층은 유지 보수, 케이터링 및 기타 지상 운영에 사용되며, 공항 램프 중간에 있는 원격 주기장까지 승객을 수송하는 버스에도 사용된다. 국내선은 13개의 게이트(버스 게이트 3개 포함)가 있으며, 국제선은 14개(버스 게이트 3개 포함)가 있다.

  • 국제선 시설은 총 2층 건물 여객기 A380-800에도 대응하며, 2014년 8월 9일, 13일 및 2016년 8월 10일, 14일에는 싱가포르 항공의 정기편이 A380형 기종으로 운항되었다. 또한, 2017년 3월 1일부터 25일까지 타이 국제항공의 정기편이 A380형 기종으로 운항되었다.[147]
  • 전망 데크: 활주로를 향해 크게 돌출된 총 길이 300m의 야외 전망 데크 '스카이 데크'가 설치되어 있다.
  • * 스카이 데크에서는 이세만을 사이에 두고 미에현의 이세 평야나 스즈카 산맥을, 북쪽으로는 나고야의 시가지를, 동쪽으로는 온타케산과 에나산을 조망할 수 있다.
  • 동계 일루미네이션: 매년 동계에는 전망 데크에서 다채로운 대규모 일루미네이션이 장식 전시된다.


3. 2. 2. 제2 터미널 (T2)

2019년 9월 20일 저비용 항공사(LCC) 전용 터미널로 사용을 개시했다.[113][157][158] 나리타 국제공항간사이 국제공항에 이어 일본의 3대 도시권 국제 거점 공항 모두에 저비용 항공사 전용 터미널이 정비되었다.

터미널 2는 저가 항공사의 국내선 및 국제선 항공편을 모두 처리하며, 국제선 11개, 국내선 9개의 게이트가 있다.[18] 터미널 1과 2를 연결하는 셔틀 버스가 운행된다.[19]

제2터미널에서 제1터미널, 그리고 주부 국제공항역까지의 이동은 도보로만 가능하며, 약 10분 정도가 소요된다. 또한, 탑승 및 하차 위치가 가장 먼 경우에는 제2터미널 내 도보 이동도 포함되어 20분 가까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환승 등에 주의해야 한다.

3. 3. 액세스 플라자



액세스 플라자는 주부 국제공항역과 기타 서비스 시설이 있으며, 제1터미널 앞에 위치하며 연결되어 있다. P1 주차장 통로를 통해 플라이트 오브 드림스(Flight of Dreams)와 제2터미널로 접근할 수 있다.

여객 터미널 빌딩 2층과 연락 통로로 연결된 건물에는 전철·버스·차량·고속선·각종 교통 접근 수단과 여객 터미널과의 연락 기능, 교통·관광 등의 정보 제공 기능을 갖춘 시설 "액세스 플라자"[159][160]"가 있다[161] (24시간 개방[161]).

나고야 철도주부 국제공항역 출입구와 종합 안내소 (액세스 플라자 중앙: 영어 포함 3개 국어(영어·중국어·한국어)로 대응 가능한 국제 기준 카테고리 3의 외국인 관광 안내소 인증 획득 완료[162]), 외화 환전, ATM, 편의점 (24시간 영업) 등이 있다. 지상층의 버스 승차장·고속선 타는 곳·자동차 주차장·택시 타는 곳이 터미널 빌딩 및 호텔로의 접근이 편리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단, 노선 버스·전세 버스 및 택시로 공항에 도착 시 하차장은 액세스 플라자가 아닌 터미널 빌딩 본관 1층에 있다. 액세스 플라자에서는 출발·도착 로비가 있는 2층·3층으로 단차 없이 이동할 수 있다.

국내선 및 국제선 도착 후 완만한 경사로를 올라가면 액세스 플라자에 도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센트레아 호텔과도 직결되어 있다.

2012년 5월에는 도코나메시의 관광 안내소와 도코나메 경정장의 장외 발매소를 갖춘 "오라레 센트레아"가 개업했다[163]

3. 4. 비즈니스 제트기용 시설

공항섬 북부에 비즈니스 제트기용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164][165][166] 24시간 발착(출입국)이 가능한 비즈니스 제트 전용 터미널, 비즈니스 제트 격납고(24시간 정비 가능), 이용자 전용의 제2 CIQ 구역(세관·출입국 관리·검역) 등이 포함된다.[164][165][166] 비즈니스 제트 격납고의 연면적은 5,476.52m2이고, 최고부 높이는 19.65m, 유효 높이는 13.50m이다.[167] 걸프스트림 G-V 기종 5대를 수용할 수 있으며, 최대 B737 기종까지 격납 가능하다.[167] 격납고 개구 치수는 폭 102.5m, 높이 13.5m이며, 유효 개구부는 약 68.34m이다.[167] 약 170m2 규모의 사무소에는 라운지와 작업실이 마련되어 있다.[167]

3. 5. 화물 지구

여객 터미널 빌딩 북쪽에 위치한 화물 지구에는 국제 화물 창고(제1, 제2, 제3), 국내 포워더 창고, 국내 항공사 창고, 트럭 대기장, 훈증 시설, 화물 사무동 등이 있다. 이 지구는 관계자 외 출입이 통제되는 유인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다.[168][169] 주부 국제공항의 공항 섬은 일본 공항 중 유일하게 종합 보세 지역 허가를 세관으로부터 받은 곳으로, 허가 시설 내에서는 외국 도착 화물의 하역, 운반, 보관, 유통 가공 등을 보세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170][171]

주부 국제공항에 착륙한 우크라이나 안토노프 항공 소속 An-124기. 2011년 6월.

3. 6. 드림리프터 오퍼레이션즈 센터

보잉 드림리프터 운영 센터는 공항 활주로에 위치하며, 주 터미널 남쪽에 있다. 이 시설은 날개를 포함하여 보잉 787 드림라이너 항공기의 일본 부품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며, 미국 조립 시설로 공수되기를 기다린다.[21] 드림리프터 항공기는 2007년부터 센트레어에서 운항해 왔으며, 찰스턴 국제공항에 있는 보잉 787 조립 공장으로 일주일에 여러 번 운항한다.[22]

왼쪽: B787 주익, 중앙: 드림리프터, 오른쪽: 기증된 B787 1호기


국제선 28번 스폿 남쪽 구역(공항 섬 중앙 최남단부)에 보잉 787형 기체 부품 보관고인 "드림리프터 오퍼레이션즈 센터"(DOC) 및 대형 화물기용 스폿(주기장: 404, 405, 406)이 설치되어 있다.[172]

공항 섬의 항구로 해상 수송된 보잉 787형 기체 부품은, 육상 하역 후 공항 섬 내의 "초대형 화물 수송로(보잉 787 수송 도로)"를 이동[173]하여, DOC에 일시적으로 보관된다. 해당 부품은, 북미에 본거지를 둔 아틀라스 항공이, 최종 조립 공장이 있는 미국 에버렛 (워싱턴 주)의 페인필드 공항과 찰스턴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찰스턴 국제공항까지, 보잉 747-400LCF (드림리프터)를 사용하여 수송[174]하고 있다(해당 기체는 전 세계에 4대가 존재하며, 일본으로의 비행은 주부 국제공항뿐이다). 최근에는 보잉 787의 증산에 따라, 드림리프터에 의한 수송이 제때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여, 러시아의 볼가 드네프르 항공의 안토노프 An-124에 의한 전세 화물편이 연간 약 20회 정도 운항되고 있다.

"드림리프터 오퍼레이션즈 센터2(DOC2)" (건축 면적: 약 2,000m2)가, 기존 DOC 서쪽 인접지에 2016년 여름 완공 예정으로 건설 중이다.[175][176]

DOC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 건축 면적: 약 3,000m2(약 70m × 약 40m, 높이: 약 15m), 철골 구조, 2층 건물
  • 용도:
  • 보잉 787의 부품을 보잉 747-400LCF (드림리프터)에 탑재하기 위한 GSE 차량(지상 조업 장비, "라지 카고 로더(LCL)", "모바일 테일 서포트(MTS)"의 실내 보관
  • 미쓰비시 중공업, 가와사키 중공업, SUBARU (구·후지 중공업)의 각 공장에서 해상 수송되는 보잉 787형 기체 부품을, "드림리프터"에 탑재할 때까지 일시 보관

3. 7. 항만 지구



일본의 해상 공항 시설 중 유일하게 대형 화물 하역이 가능한 항만 시설인 "도코나메항 공항 지구"[177]주부 국제공항 섬 내(여객 터미널 동부)에 위치하며, 공항과의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 본 시설의 활용 예로, "아시아 No.1 항공 우주 산업 클러스터 형성 특구"[178][179]아이치현·기후현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제조된 항공기 부품을 선박을 이용하여 주부 국제공항("도코나메항 공항 지구")까지 해상 운송한 후, 미국의 조립 공장으로 공수하고 있다(시 앤 에어)[180][181]

3. 8. 버스 터미널

주부 국제공항의 버스 터미널은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248]

제1 터미널의 버스 터미널은 1층에 위치하며, 승강장과 하차장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액세스 플라자에서만 접근할 수 있다. 제2 터미널의 버스 터미널 역시 1층에 있으며, 승강장과 하차장이 분리되어 있지만 인접해 있다.

3. 9. 주차장

주차 시설은 24시간 운영되며, 수용 능력은 5,800대(개항 당시 4,000대에서 확장, 500대분은 예약 차량 전용)의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182] 일반 차량의 주차 요금은 300엔/시간(30분 이내 무료, 1일 최대 1,600엔, 각종 할인 제도 있음)이다.[182]

주차 요금은 현금, 신용 카드, iD, QUICPay, 교통계 전자 화폐, 라쿠텐 Edy, WAON으로 결제 가능하다. 그 외에 공항 섬 내 호텔에 1,164대분의 유료 주차장이 있으며, 호텔 투숙객은 할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연말연시 등 성수기에만 개장하는 임시 주차장(국제선 윙에서 남쪽 방향으로 개설)이나 전기 자동차 (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PHV)용 충전소도 완비되어 있다.[184] 관광 버스 전용 주차장은 터미널 빌딩 근처에 정비되어 있다.[183]
EV・PHV용 충전 스탠드일반 200V (케이블 포함) · 4기 (사전 예약제)
수소 스테이션도호 가스 센트레아 수소 스테이션

3. 9. 1. EV・PHV용 충전 스탠드

일반 200V (케이블 포함) · 4기 (사전 예약제)

3. 9. 2. 수소 스테이션

도호 가스 센트레아 수소 스테이션

3. 10. 주유소

공항 섬 내에는 일반인이 이용 가능한 주유소가 설치되어 있다.[185]

3. 11. 호텔

3. 11. 1. 공항섬 내 호텔

wikitext

3. 11. 2. 주부 린쿠 도시 내 (공항섬 대안부) 호텔

4. 운항 노선

wikitext

2024년 2월 1일 기준으로 국내선은 17개 도시, 71편/일, 국제선은 18개 도시, 256편/주 운항하고 있다. 화물 전용기는 52편/주 운항하고 있다(2023년 겨울 스케줄).[212]

; 국내선



; 국제선

항공사목적지
일본항공호놀룰루, 상하이–푸둥, 타이베이–타오위안, 톈진
전일본공수상하이–푸둥
대한항공부산,[45] 서울–인천
전세편: 무안[46]
아시아나항공서울–인천
에어부산부산,[23] 서울–인천[24]
제주항공서울–인천
진에어서울–인천[42]
중국국제항공베이징–수도,[25] 상하이–푸둥
중국남방항공다롄,[25] 광저우,[34] 상하이–푸둥, 선양[35]
중국동방항공란저우,[30] 상하이–푸둥,[31] 시안,[32] 옌타이[33]
상하이 항공상하이–푸둥
준야오 항공베이징–다싱,[43] 난징, 상하이–푸둥[44]
선전 항공선전[51]
스프링 항공다롄,[52] 상하이–푸둥[31]
샤먼 항공항저우[60]
톈진 항공톈진[55]
캐세이퍼시픽 항공홍콩,[28] 타이베이–타오위안[29]
홍콩 항공홍콩[39]
HK 익스프레스홍콩
중화항공타이베이–타오위안
스타럭스 항공타이베이–타오위안[53]
타이거에어 타이완가오슝,[56] 타이중,[57] 타이베이–타오위안
필리핀 항공세부, 마닐라
세부퍼시픽 항공마닐라
베트남 항공하노이, 호치민
비엣젯 항공하노이[59]
전세편: 다낭
타이 항공방콕–수완나품
방콕–돈므앙[54]
바틱 에어 말레이시아가오슝,[26] 쿠알라룸푸르–국제, 타이베이–타오위안 (2025년 2월 18일 종료)[27]
싱가포르 항공싱가포르
유나이티드 항공
핀에어계절편: 헬싱키[36]
젯스타 재팬마닐라,[41] 타이베이-타오위안



; 화물편

항공사목적지
일본화물항공도쿄-나리타
ANA 카고오키나와, 홍콩(첵랍콕)[280]
아시아나 카고서울(인천)[280]
산둥 항공칭다오[219]
싱가포르 항공 카고타이베이(타오위안), 싱가포르, 신시내티, 로스앤젤레스, 호놀룰루, 시드니 등으로 운항한다.[220]


4. 1. 국내선

계절편 : 구시로 일본 트랜스오션 항공오키나와 ANA 윙스가고시마, 구마모토, 니가타, 도쿄(나리타), 마쓰야마, 미야자키, 센다이, 아키타, 후쿠오카 스카이마크 항공가고시마, 도쿄(나리타), 오키나와, 후쿠오카 솔라시드 항공가고시마, 오키나와 스타플라이어후쿠오카 아이벡스 항공센다이, 오이타, 후쿠오카 젯스타 재팬가고시마, 삿포로(신치토세), 오키나와, 후쿠오카



국내선 구역


일본항공, 전일본공수 등 많은 항공사가 주요 공항을 중심으로 정기 운항 노선을 개설하고 있다. 특히 삿포로(신치토세)・후쿠오카(후쿠오카)・오키나와(나하) 등 고수요 노선은 안정적으로 높은 탑승률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항공사가 고빈도로 운항하고 있다. 국제선과의 환승에 특화된 기능적인 구조의 터미널로, 국제선 환승편으로 도쿄의 하네다 공항이나 나리타 공항으로의 정기 운항 노선도 있다.

국내선 이용객에게는 공항 시설 이용료가 부과된다. 과거에는 항공사가 (항공 운임에 포함하는 형태로) 지불했지만, 2005년 4월 1일부터는 각 이용자가 1회당 310엔을 항공권 구매 시에 추가하여 지불하게 되었다. 이 방식의 이용료 징수는 국내에서는 하네다 공항에 이어 두 번째 사례이다.

국내선에 취항하는 항공사 수는 13개로, 후쿠오카 공항과 함께 국내선 취항 회사 수가 1위이다.

(중부공항 출발) 2023년도 취항 노선별 여객수/순위[80]
목적지여객수국내선 순위
신치토세 공항약 140만 명상위 14위
나하 공항약 125만 명상위 18위
후쿠오카 공항약 93만 명상위 29위


4. 1. 1. 제1 터미널

4. 1. 2. 제2 터미널

젯스타 재팬은 2013년 3월부터 삿포로(신치토세), 후쿠오카 노선에 취항하였으며,[217] 2017년 5월 24일, 2018년 봄을 목표로 주부 국제공항에 거점을 개설할 것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기재 수를 21대(2017년 5월 기준)에서 28대로 늘리고, 그 중 3대를 중부에 야간 주기할 계획이다. 또한, 정비 시설을 배치하여 불규칙적인 운항 상황에 대한 대응을 강화할 예정이다.

거점화를 통해 아침 및 밤 시간대 항공편 운항, 스케줄 편의성 향상, 정시 운항률 개선 및 결항률 감소, 신규 노선 취항 및 기존 노선 증편, 전세편 운항 등 유연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젯스타 재팬은 그룹사인 젯스타 항공(JQ)이나 젯스타 아시아(3K) 등과의 협력을 통해 주부 국제공항의 국제선 노선 확충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 3월 26일, 젯스타 재팬은 3월 21일부터 정비 거점을 개설하여 운용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당분간 1대를 주기시키고, 약 30명의 스태프가 근무하며, 가을 쯤까지 3대 체제, 100명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가타오카 마사루 사장은 "국내외에서 중부로 여행객을 유치하고, 신규 노선 개설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주부 국제공항에서 젯스타 재팬은 국내선 4개 노선(가고시마, 삿포로(신치토세), 오키나와, 후쿠오카)과 국제선 2개 노선(마닐라,[41] 후쿠오카, 가고시마, 마닐라,[41] 나하, 삿포로–신치토세)을 운항하고 있다. 향후 LCC 터미널 사용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4. 2. 국제선

항공사목적지
일본항공방콕(수완나품), 상하이(푸둥), 타이베이(타오위안), 톈진, 호놀룰루
전일본공수상하이(푸둥), 홍콩(첵랍콕)
젯스타 재팬타이베이(타오위안), 마닐라
스타플라이어타이베이(타오위안)
대한항공서울(인천), 부산
전세편: 무안[278]
아시아나항공서울(인천)
에어부산서울(인천), 부산
제주항공서울(인천)
진에어서울(인천)[279]
티웨이항공서울(인천), 제주
중국국제항공베이징(서우두), 상하이(푸둥)
중국남방항공광저우, 다롄, 상하이(푸둥), 선양
중국동방항공란저우, 베이징(다싱), 상하이(푸둥), 시안, 옌타이, 청두, 타이위안
산둥 항공지난, 칭다오
룽에어항저우
춘추항공상하이(푸둥), 닝보
준야오 항공난징, 상하이(푸둥), 샤먼, 우시
우루무치 항공지난, 우루무치, 우한
캐세이퍼시픽 항공타이베이(타오위안), 홍콩(첵랍콕)
홍콩 익스프레스 항공홍콩(첵랍콕)
중화항공타이베이(타오위안)
에바 항공타이베이(타오위안)
타이거 항공 타이완타이베이(타오위안), 가오슝
필리핀 항공마닐라, 세부
세부 퍼시픽 항공마닐라
베트남 항공하노이, 호치민
비엣제트 항공하노이, 호치민
타이 항공방콕(수완나품)
타이 에어아시아 X방콕(돈므앙)
싱가포르 항공싱가포르
에티하드 항공아부다비, 베이징(서우두)
루프트한자프랑크푸르트
핀에어헬싱키
델타 항공디트로이트, 호놀룰루
유나이티드 항공



대한항공 보잉 747-400과 일본항공 보잉 777


핀에어 에어버스 A330


아시아 노선에서는 한국, 홍콩, 동남아시아 노선이 많으며, 일본항공이 중화민국(대만) 노선을 운항(2024년 2월 17일 현재 운휴 중)하고 있으며, 젯스타 재팬이 필리핀, 스타플라이어가 중화민국 노선을 자체 운항(2024년 2월 17일 현재 운휴 중)하고 있다. 이 외에도 중화항공,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캐세이퍼시픽 항공, 필리핀 항공, 세부퍼시픽 항공, 싱가포르 항공, 타이 국제항공, 베트남 항공 등이 정기편을 운항하고 있다. 또한 타이거에어 타이완, 홍콩 익스프레스 항공, 제주항공 등 저가 항공사의 취항도 있다.

또한, 중화인민공화국 각지로의 정기편도 충실하다. 일본항공이 여러 도시 노선을 운항하고 있으며, 중국동방항공중국남방항공이 중국 지방 도시 노선을 증설하는 추세에 있다. 2015년 6월부터 대형 저가 항공사인 춘추항공도 취항을 시작하여, 상하이(푸둥) 노선을 개설했다.

유럽 노선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취항 노선이 없는 상태가 계속되었으나, 핀에어가 헬싱키로의 직항편을 2024년 5월 30일부터 계절 운항으로 재개했다. 재개 후에는 러시아 영공을 피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어 소요 시간은 약 13시간이 된다.

태평양 · 오세아니아 지역으로는, 일본항공호놀룰루 노선을 운항하는 외에, 일본 정부와의 오픈 스카이 협정에 근거한 원거리 운송권을 이용하여 유나이티드 항공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국제선 출발에 따른 여객 시설 사용료는 2,570엔이다. 또한, COVID-19 범유행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영향으로 많은 항공편이 재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일본의 대형 항공사 중 하나인 전일본공수는 당 공항을 출발하는 국제선을 현재 운항하지 않고 있다.

4. 2. 1. 제1 터미널

일본항공은 방콕(수완나품), 상하이(푸둥), 타이베이(타오위안), 톈진, 호놀룰루로 운항한다.[25][39]

피치 항공타이베이(타오위안)으로 운항한다.[50]

대한항공서울(인천), 부산으로 운항하며, '''전세편'''으로 무안으로 운항한다.[46][45]

아시아나항공서울(인천)으로 운항한다.

진에어서울(인천)으로 운항한다.[42]

에어로케이청주로 2025년 1월 31일부터 취항할 예정이다.

중화항공타이베이(타오위안)으로 운항한다.

스타럭스 항공은 타이베이(타오위안)으로 운항한다.[53]

중국국제항공베이징(서우두), 상하이(푸둥)으로 운항한다.[25]

중국동방항공상하이(푸둥), 옌타이, 시안, 타이위안(옌타이 경유), 란저우(상하이(푸둥) 경유)로 운항한다.[30][31][32][33]

중국남방항공상하이(푸둥), 다롄, 선양, 광저우로 운항한다.[25][34][35]

상하이 항공상하이(푸둥)으로 운항한다.

길상항공은 상하이(푸둥), 난징으로 운항한다.

선전 항공선전으로 운항한다.[51]

샤먼 항공항저우로 운항한다.[60]

톈진 항공톈진으로 운항한다.[55]

캐세이퍼시픽 항공타이베이(타오위안), 홍콩(CX530/531은 타이베이/타오위안 경유)으로 운항한다.[28][29]

홍콩 항공홍콩으로 운항한다.[39]

필리핀 항공마닐라로 운항한다.

베트남 항공하노이, 호치민으로 운항한다.

비엣제트 항공은 하노이로 운항한다.[59]

타이 항공은 방콕(수완나품)으로 운항한다.

타이 에어아시아 X방콕(돈므앙)으로 운항한다.[54]

바틱 에어 말레이시아타이베이(타오위안)(2025년 2월 15일부로 운휴 예정), 가오슝, 쿠알라룸푸르(OD886/887은 타이베이/타오위안 경유, OD890/891은 가오슝 경유)로 운항한다.[26][27]

싱가포르 항공은 싱가포르로 운항한다.

핀에어헬싱키로 (계절 운항)한다.[36]

유나이티드 항공으로 운항한다.

4. 2. 2. 제2 터미널

4. 3. 화물편

주부 국제공항의 화물편은 주 52편(2023년 하계/동계 스케줄)[79] 운항하며, 화물 취급량(2015년도)은 186,793t(국제: 161,055t, 국내: 25,738t)으로 국제 화물 취급량은 일본 국내 5위를 기록하고 있다.[218] 매년 4월경 미에현 스즈카 서킷에서 개최되는 F1일본GP에 참전하는 머신을 운송하는 전세편이 다수 운항한다.

JAL 카고서울(인천)[281], 상하이(푸둥), 도쿄(나리타)[61] 등으로 운항한다. 칼리타 에어서울(인천), 도쿄(나리타), 신시내티등으로 운항한다. 중화항공 카고는 타이베이(타오위안) , 샌프란시스코 , 로스앤젤레스 , 시카고 등으로 운항한다. 에어 홍콩은 홍콩으로 운항하며, 카타르 항공마카오, 싱가포르, 로스앤젤레스, 시카고, 멕시코시티 등으로 운항한다. DHL 에어 UK는 이스트 미들랜즈, 신시내티, 홍콩으로 운항한다. 싱가포르 항공 카고는 타이베이(타오위안), 싱가포르, 신시내티, 로스앤젤레스, 호놀룰루, 시드니 등으로 운항한다.[220] 산둥 항공칭다오로 운항한다.[219]

그 외에도 아시아나 카고는 서울(인천)으로 운항하며,[280] ANA 카고오키나와, 홍콩(첵랍콕)으로 운항한다.[280] 일본화물항공도쿄(나리타), 밀라노(말펜사) 등으로 운항하며, 트랜스마일 에어 서비스는 쿠알라룸푸르로 운항한다. 영국항공 월드 카고DHL 항공홍콩(첵랍콕)으로, 에어브리지 카고 에어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로, 아틀라스 항공은 신시내티(노던켄터키)로 운항한다.

또한, 드림리프터, 내셔널 에어 카고, An-124와 같은 안토노프 항공기들이 부정기적으로 운항하며, 과거에는 An-225도 운항한 적이 있다.

5. 교통

주부 국제공항역


주부 국제공항(공항 섬)으로의 지상 접근은 도로교인 센트레아 대교(총 길이: 1,414m) [239] 또는 철도교인 주부 국제공항 연락 철도교 (총 길이: 1,076m)[240]를 이용한다. 주부 국제공항에서 나고야시까지 자동차로 약 40km로 약 40분 소요된다[241]. 나고야 철도선을 이용할 경우, 메이테츠 나고야역까지의 소요 시간은 최속 29분이다[242].

=== 철도 ===

나고야 철도(메이테츠) 메이테쓰 공항선이 제1 터미널에 직결된 주부 국제공항역에서 나고야시 메이테쓰 나고야역, 이누야마역, 기후현 메이테쓰 기후역 등으로 직통 운전한다.[62] 메이테쓰 나고야역은 JR 나고야역과 인접해 있어 도카이도 신칸센 열차로 도쿄오사카뿐만 아니라 많은 주요 도시로 환승할 수 있으며, JR, 메이테츠, 긴테쓰의 일반 열차, 나고야 시영 지하철로도 환승할 수 있다.
;정차역(메이테쓰나고야 착발)

:주부코쿠사이쿠코(주부국제공항) - 도코나메 - 진구마에 - 가나야마 - 메이테쓰나고야(메이테츠 나고야)

;정차역(메이테쓰기후 착발)

:주부고쿠사이쿠코 - 도코나메 - 진구마에 - 가나야마 - 메이테쓰나고야 - 고노미야 - 메이테쓰이치노미야 - 메이테쓰기후

;정차역(신우누마 착발)

:주부코쿠사이쿠코 - 도코나메 - 진구마에 - 가나야마 - 메이테쓰나고야 - 이와쿠라 - 고난 - 이누야마 - 이누야마유엔 - 신우누마
;정차역

:주부코쿠사이쿠코 - 도코나메 - 신마이코 - 아사쿠라 - 오와리요코스카 - 오타가와 - 진구마에 - 가나야마 - 메이테쓰나고야 - (스카구치) - 고노미야 - 메이테쓰이치노미야 - 신키소가와 - 가사마쓰 - 메이테쓰기후
메이테츠 ''μSky'' 특급 (오른쪽) 및 특급 (왼쪽)


공항 연락 철도는 제3종 철도 사업자인 주부 국제공항 연락 철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메이테쓰가 이를 빌려 운송을 하고 있다.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 다케토요 선의 운행을 요구하는 의견도 있지만[243], 실현을 위한 움직임은 없다.(「다케토요 선」도 참조) 센트레아(Centrair)와 나고야역, 그리고 JR 네트워크를 다케토요 선의 오카와역을 통해 연결하는 JR 노선 건설에 대한 제안이 있으나 현재까지 실제 건설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터널이나 교량을 건설하여 센트레아와 나고야역을 연결하는 아오나미 선에 대한 제안도 있으며, 나고야시 정부는 2019년에 타당성 평가를 실시했다.[63]

=== 버스 ===

메이테츠 버스, 나고야 버스(에어포트 라이너[250]), 지타 버스, 미에 교통, 엔테츠 버스(공항 직행 버스「e-wing」[254]) 등 5개의 회사가 아이치현(나고야 시내, 아이치 동부(미카와), 도코나메·한다), 미에현, 시즈오카현, 교토부 각 방면으로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248] 센트레아 리무진은 나고야 시내, 사카에 및 주요 호텔을 오가는 직행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에현을 경유하여 교토까지 운행하는 인접 현행 고속 버스는 3,000엔이다.[64][65][66]

공항 섬 내에는 지타 버스가 운행하는 "공항 화물 지구 순환선"(운행 계통: A순환, B순환, C순환)이 정기 운행된다.[244] 2024년 1월부터는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 그룹의 5개사[245]로부터 기부[246]받은 토요타・SORA를 도입하여 제1·제2 터미널 간 연락 순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247] 주부 국제공항과 "이온 몰 도코나메"를 잇는 무료 셔틀 버스가 매일 운행되고 있으며, 소요 시간은 약 15분이다(2024년 3월 말 폐지 예정).[248]

2024년 4월부터 미에 교통이 운행하는 욧카이치·주부 국제공항선은 이용자 감소로 운행이 종료되었고, 구와나·주부 국제공항선 역시 운행이 중단되었다.[252][253]

=== 항로 ===

쓰 에어포트 라인(쓰 벨 라인)은 쓰나기사마치(쓰시)까지 운행하며 예약이 필요하다.[255][256][257] 쓰나기사마치에서는 이세・토바 방면 특급 버스와 연결된다. 센트레아까지는 에서 고속선이 운항되고 있으며, 선착장에서 여객터미널 빌딩까지는 연락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도바에서 공항 건너편 린쿠초까지 페리도 운항되고 있다. 쓰 (미에현)의 여객 터미널까지 페리가 운행되며, 소요 시간은 40분이다.

과거에는 마쓰사카 고속선(마쓰사카 벨 라인)이 마쓰사카항까지 운행했으나, 경영난으로 2009년 8월 31일까지만 운행 후, 쓰 에어포트 라인・마쓰사카 항로로 변경되어 운행했지만 2016년 12월 19일 폐지되었다.[258][259] 요카이치 에어포트 라인은 요카이치 하마조노 여객 터미널(요카이치시)까지 2008년 10월 4일까지 운행 후 폐지되었다. NPO법인 「진자 미나토마치 재생 그룹」은 진자항(이세시)까지 2005년부터 하계 토, 일, 공휴일에 운항했지만, 2007년 이후에는 운항하지 않고 있다.

오이세 선 라인(통칭)은 우지야마다항(이세시)까지 2008년 4월 20일부터 취항 예정이었지만, 운항 예정 회사인 세라비 관광 기선이 해당 노선 운항에서 철수했다.[260]

=== 자동차 ===

아이치현도 제522호선이 이 공항에 접근하는 도로이다.[67] 주부 국제공항 연락 도로 (센트레아 라인)는 주부 국제공항과 본토를 연결하는 유료 도로이며, 최단 인터체인지는 센트레아 동 인터체인지이다.[67]

택시는 메이테츠 지타 택시, 안전 택시, 지타 츠바메 택시, 샤치 다이이치 교통 4개사로 구성된 주부 국제공항 구내 택시 영업회의 가맹 택시가 운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후지 택시, 미에 긴테츠 택시 (미에현 각 지역 행), 츠바메 택시, 나고야 MK 그룹, 엔테츠 교통 (시즈오카현 각 지역 행) 등이 정액 택시를 운행하고 있으며, 츠바메 택시는 그룹용 점보 택시를 전세 운행하고 있다(사전 예약 필요). 과거에는 알피코 택시가 공항선 합승 택시를 운행했으나, 2019년 5월 말에 운항을 종료했다.

렌터카는 토요타 렌탈리스, 닛폰 렌터카, 타임즈 카 렌탈, 오릭스 렌터카, 닛산 렌터카에서 이용할 수 있다. Rental819 주부 국제공항점에서는 렌탈 바이크를 이용할 수 있다.

5. 1. 철도

나고야 철도(메이테츠) 메이테쓰 공항선이 제1 터미널에 직결된 주부 국제공항역에서 나고야시 메이테쓰 나고야역, 이누야마역, 기후현 메이테쓰 기후역 등으로 직통 운전한다.[62] 메이테쓰 나고야역은 JR 나고야역과 인접해 있어 도카이도 신칸센 열차로 도쿄오사카뿐만 아니라 많은 주요 도시로 환승할 수 있으며, JR, 메이테츠, 긴테쓰의 일반 열차, 나고야 시영 지하철로도 환승할 수 있다.
;정차역(메이테쓰나고야 착발)

:주부코쿠사이쿠코(주부국제공항) - 도코나메 - 진구마에 - 가나야마 - 메이테쓰나고야(메이테츠 나고야)

;정차역(메이테쓰기후 착발)

:주부고쿠사이쿠코 - 도코나메 - 진구마에 - 가나야마 - 메이테쓰나고야 - 고노미야 - 메이테쓰이치노미야 - 메이테쓰기후

;정차역(신우누마 착발)

:주부고쿠사이쿠코 - 도코나메 - 진구마에 - 가나야마 - 메이테쓰나고야 - 이와쿠라 - 고난 - 이누야마 - 이누야마유엔 - 신우누마
;정차역

:주부코쿠사이쿠코 - 도코나메 - 신마이코 - 아사쿠라 - 오와리요코스카 - 오타가와 - 진구마에 - 가나야마 - 메이테쓰나고야 - (스카구치) - 고노미야 - 메이테쓰이치노미야 - 신키소가와 - 가사마쓰 - 메이테쓰기후

공항 연락 철도는 제3종 철도 사업자인 주부 국제공항 연락 철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메이테쓰가 이를 빌려 운송을 하고 있다.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 다케토요 선의 운행을 요구하는 의견도 있지만[243], 실현을 위한 움직임은 없다.(「다케토요 선」도 참조) 센트레아(Centrair)와 나고야역, 그리고 JR 네트워크를 다케토요 선의 오카와역을 통해 연결하는 JR 노선 건설에 대한 제안이 있으나 현재까지 실제 건설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터널이나 교량을 건설하여 센트레아와 나고야역을 연결하는 아오나미 선에 대한 제안도 있으며, 나고야시 정부는 2019년에 타당성 평가를 실시했다.[63]

5. 2. 버스

메이테츠 버스, 나고야 버스(에어포트 라이너[250]), 지타 버스, 미에 교통, 엔테츠 버스(공항 직행 버스「e-wing」[254]) 등 5개의 회사가 아이치현(나고야 시내, 아이치 동부(미카와), 도코나메·한다), 미에현, 시즈오카현, 교토부 각 방면으로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248] 센트레아 리무진은 나고야 시내, 사카에 및 주요 호텔을 오가는 직행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에현을 경유하여 교토까지 운행하는 인접 현행 고속 버스는 3,000엔이다.[64][65][66]

공항 섬 내에는 지타 버스가 운행하는 "공항 화물 지구 순환선"(운행 계통: A순환, B순환, C순환)이 정기 운행된다.[244] 2024년 1월부터는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 그룹의 5개사[245]로부터 기부[246]받은 토요타・SORA를 도입하여 제1·제2 터미널 간 연락 순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247] 주부 국제공항과 "이온 몰 도코나메"를 잇는 무료 셔틀 버스가 매일 운행되고 있으며, 소요 시간은 약 15분이다(2024년 3월 말 폐지 예정).[248]

2024년 4월부터 미에 교통이 운행하는 욧카이치·주부 국제공항선은 이용자 감소로 운행이 종료되었고, 구와나·주부 국제공항선 역시 운행이 중단되었다.[252][253]

5. 3. 항로

쓰 에어포트 라인(쓰 벨 라인)은 쓰나기사마치(쓰시)까지 운행하며 예약이 필요하다.[255][256][257] 쓰나기사마치에서는 이세・토바 방면 특급 버스와 연결된다. 센트레아까지는 에서 고속선이 운항되고 있으며, 선착장에서 여객터미널 빌딩까지는 연락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도바에서 공항 건너편 린쿠초까지 페리도 운항되고 있다. 쓰 (미에현)의 여객 터미널까지 페리가 운행되며, 소요 시간은 40분이다.

과거에는 마쓰사카 고속선(마쓰사카 벨 라인)이 마쓰사카항까지 운행했으나, 경영난으로 2009년 8월 31일까지만 운행 후, 쓰 에어포트 라인・마쓰사카 항로로 변경되어 운행했지만 2016년 12월 19일 폐지되었다.[258][259] 요카이치 에어포트 라인은 요카이치 하마조노 여객 터미널(요카이치시)까지 2008년 10월 4일까지 운행 후 폐지되었다. NPO법인 「진자 미나토마치 재생 그룹」은 진자항(이세시)까지 2005년부터 하계 토, 일, 공휴일에 운항했지만, 2007년 이후에는 운항하지 않고 있다.

오이세 선 라인(통칭)은 우지야마다항(이세시)까지 2008년 4월 20일부터 취항 예정이었지만, 운항 예정 회사인 세라비 관광 기선이 해당 노선 운항에서 철수했다.[260]

5. 4. 자동차

아이치현도 제522호선이 이 공항에 접근하는 도로이다.[67] 주부 국제공항 연락 도로 (센트레아 라인)는 주부 국제공항과 본토를 연결하는 유료 도로이며, 최단 인터체인지는 센트레아 동 인터체인지이다.[67]

택시는 메이테츠 지타 택시, 안전 택시, 지타 츠바메 택시, 샤치 다이이치 교통 4개사로 구성된 주부 국제공항 구내 택시 영업회의 가맹 택시가 운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후지 택시, 미에 긴테츠 택시 (미에현 각 지역 행), 츠바메 택시, 나고야 MK 그룹, 엔테츠 교통 (시즈오카현 각 지역 행) 등이 정액 택시를 운행하고 있으며, 츠바메 택시는 그룹용 점보 택시를 전세 운행하고 있다(사전 예약 필요). 과거에는 알피코 택시가 공항선 합승 택시를 운행했으나, 2019년 5월 말에 운항을 종료했다.

렌터카는 토요타 렌탈리스, 닛폰 렌터카, 타임즈 카 렌탈, 오릭스 렌터카, 닛산 렌터카에서 이용할 수 있다. Rental819 주부 국제공항점에서는 렌탈 바이크를 이용할 수 있다.

6. 환경 대책

주부 국제공항은 환경 영향 회피 및 저감에 관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1998년 6월부터 1999년 7월에 걸쳐 환경 영향 평가를 실시했다. 이 환경 영향 평가에서 기재한 환경 보전 대책 및 환경 모니터링을 확실하게 실행하기 위해 환경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운용하여 관리하고 있다.[137]

또한, 2000년 12월에는 국내 공항 설치 관리자 최초로 국제 규격인 ISO14001【환경 매니지먼트 시스템 (EMS)】 인증을 취득했다. 개항 후인 2005년 9월에는 센트레아 그룹으로서의 인증을 취득했다.[137]

구체적인 노력 사례는 다음과 같다.

7. 국제 평가

스카이트랙스(SKYTRAX)는 영국의 항공 업계 조사 회사로, 세계 공항을 대상으로 한 고객 서비스에 관한 국제 공항 평가 결과를 매년 발표한다. 주부 국제공항은 스카이트랙스의 "5 Star Airports" (Regional Airport)로 선정되었으며, "The World Airport Awards"에서 2015년 7위, 2016년 6위를 기록했다. 또한, "The World's Best Regional Airports" 부문에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9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Best Regional Airports in Asia" 부문에서는 2011년부터 2023년까지 13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2023년에는 "Best Low-Cost Airline Terminals" 부문에서도 1위에 올랐다.

국제공항협의회(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는 캐나다에 본부를 둔 국제 공항 관리자 단체로, 매년 국제 공항 평가 "Airport Service Quality(ASQ)" 랭킹을 발표한다. 주부 국제공항은 "Airport Service Quality(ASQ) Awards"의 "규모별 최우수 공항상(BEST AIRPORT BY SIZE)" (연간 승객수 500만 명에서 1500만 명 규모) 부문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1위, 2009년 4위, 2010년 2위, 2011년과 2012년에 다시 1위를 차지했다. 2011년에는 "엑설런트 에어포트(Director General's Roll of Excellence)" 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Airport Service Quality(ASQ)"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세계 227개 공항(당시) 중 "고객 서비스가 특히 뛰어난 공항"으로 선정된 세계 14개 공항 중 하나로,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수상한 것이다.

영국 항공 데이터 분석 회사 시리움(CIRIUM)은 세계 공항의 정시 출발률을 비롯한 항공 업계의 모든 데이터를 제공한다. 주부 국제공항은 시리움의 "The On-Time Performance Awards 2022"의 "중규모 공항 부문"에서 2022년 세계 1위를 기록했다.

8. 등장 작품

8. 1. TV

NHK 종합의 《사랑하는 파리 여자》[272][273], 후지 텔레비전의 《TOKYO 에어포트 ~도쿄 공항 관제 보안부~》, 니혼 텔레비전 방송망의 《리바운드》, 후지 TV의 《외교관 구로다 코사쿠》, TV 아사히의 《경시청 실종 수사과》, 니혼 텔레비전의 《어나더 스카이》, NHK 종합의 《ROMES/공항 방어 시스템》, 후지 TV의 《미스 파일럿》, TBS 텔레비전의 《안녕, 마에스트로》 등 다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주부 국제공항이 등장한다.

8. 2. 영화

8. 3. 게임

참조

[1] 웹사이트 Chubu International Airport http://www.mlit.go.j[...] Japanes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17-01-07
[2] 웹사이트 AIS Japan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Chubu International Airport Specs and Stats https://www.mlit.go.[...] 2023-10-15
[4] 웹사이트 Feb 10, 2005 GOODBYE & AND THANK YOU KOMAKI AIRPORT http://press.jal.co.[...] 2015-06-07
[5] 웹사이트 Central Japan International Airport http://www.civilproj[...] 2010-04-23
[6] 웹사이트 Centrair Profile and History http://www.airport-t[...] 2014-03-23
[7] 간행물 Kodo-kai still raking in funds despite tougher yakuza laws http://www.japantime[...] Sentaku Magazine 2015-10-23
[8] 뉴스 American Airlines to end flights to Nagoya, Japan https://www.chicagot[...] 2005-10-01
[9] 뉴스 LCC eyes Nagoya-Kuala Lumpur runs http://www.japantime[...] 2013-09-13
[10] 뉴스 United Airlines to stop flying to Nagoya from S.F. http://www.bizjourna[...] 2008-07-22
[11] 웹사이트 Northwest's Nagoya flights now flying from 'Centrair' https://www.saipantr[...] 2005-03-22
[12] 웹사이트 Delta is pulling out of Nagoya, leaving Japanese city with no flights from North America https://www.msn.com/[...] 2023-01-24
[13] 웹사이트 セントレア直結の国際展示場「Aichi Sky Expo」公開。ビッグサイト、メッセ、インテックスに次ぐ規模 https://travel.watch[...] 2019-07-25
[14] 웹사이트 開催5周年にして初の2DAYS開催でパワーアップ「WIRED MUSIC FESTIVAL'19」 https://prtimes.jp/m[...] 2019-02-01
[15] 웹사이트 Chubu Airport to Build Two New Runways to Increase Capacity by 60% https://www.aviation[...] 2021-12-14
[16] 웹사이트 Renga-dori http://enjoy.centrai[...]
[17] 웹사이트 Chochin-yokocho http://enjoy.centrai[...]
[18] 웹사이트 エアポートガイド http://www.centrair.[...] Chubu Centrair International Airport 2013-12-13
[19] 웹사이트 Free Shuttle Bus for Terminal 2 - Terminal2 https://www.centrair[...] 2023-12-15
[20] 웹사이트 A taste of Seattle and Boeing in Japan as first Dreamliner goes on display https://www.seattlet[...] 2018-10-10
[21] 웹사이트 404 Not Found - 404 Not Found http://www.centrair.[...] 2017-06-01
[22] 뉴스 A peek inside Boeing's gargantuan Dreamlifter cargo plane at Japan's Centrair airport https://mainichi.jp/[...] 2020-02-13
[23] 웹사이트 Air Busan adds Busan – Nagoya service from June 2018 https://www.routeson[...]
[24] 웹사이트 Air Busan adds new routes in April 2020 https://www.routeson[...]
[25] 웹사이트 Mainland Chinese Carriers NS23 International / Regional Network – 23APR23 https://www.aerorout[...] 2023-04-24
[26] 웹사이트 Batik Air Malaysia plans Kaohsiung / Nagoya Feb 2024 launch https://www.aerorout[...] 2023-11-22
[27] 웹사이트 Batik Air Malaysia Cancels Taipei – Nagoya Service From mid-Feb 2025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4-12-11
[28] 웹사이트 Cathay Pacific to resume Hong Kong-Nagoya service from Jan-2023 https://centreforavi[...] CAPA 2022-10-31
[29] 웹사이트 Cathay Pacific to resume Taipei – Nagoya service in NW23 https://www.aerorout[...] 2023-05-19
[30] 웹사이트 2024年冬航季航班时刻来啦 https://mp.weixin.qq[...] 2024-10-26
[31] 웹사이트 Mainland Chinese Carriers NS23 International / Regional Network – 14MAY23 https://www.aerorout[...] 2023-05-16
[32] 웹사이트 Direct flight to link China's Shaanxi with Japan's Nagoya https://english.news[...] Xinhua News 2024-11-22
[33] 웹사이트 CHINA EASTERN RESUMES YANTAI – NAGOYA IN SEP 2024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4-07-23
[34] 웹사이트 China Southern Resumes Guangzhou – Nagoya Service in Dec 2024 https://www.aerorout[...]
[35] 웹사이트 CHINA SOUTHERN RESUMES SHENYANG – NAGOYA SERVICE FROM LATE-SEP 2024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4-08-14
[36] 웹사이트 FINNAIR RESUMES NAGOYA SERVICE FROM LATE-MAY 2024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3-11-08
[37] 웹사이트 『名古屋(中部)=出雲』線の新規開設・『静岡=出雲』線の再開について https://www.fujidrea[...]
[38] 웹사이트 Fuji Dream Airlines adds Nagoya Chubu Service in late-1Q23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3-01-18
[39] 웹사이트 Hong Kong Airlines Adds Nagoya / Yonago Service From July 2023 https://www.aerorout[...] 2023-05-23
[40] 웹사이트 IBEX Airlines W20 operation changes https://www.routeson[...] 2020-08-20
[41] 웹사이트 JETSTAR JAPAN RESUMES NAGOYA – MANILA SERVICE IN LATE-MARCH 2023 https://www.aerorout[...] 2023-02-23
[42] 뉴스 진에어, 9월에 인천~나고야 노선 신규 취항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3-07-07
[43] 웹사이트 Juneyao Airlines Adds Beijing – Japan Service From July 2023 https://www.aerorout[...] 2023-05-22
[44] 웹사이트 Juneyao Airlines Resumes Shanghai – Nagoya Service From August 2023 https://www.aerorout[...] 2023-07-17
[45] 웹사이트 Korean Air Resumes Additional Busan – Japan Service From late-Sep 2023 https://www.aerorout[...] 2023-07-19
[46] 웹사이트 Korean Air May/June 2023 Muan-Nagoya charter operations https://www.aerorout[...] 2023-05-05
[47] 웹사이트 Oriental Air Bridge NW23 Service Increases https://www.aerorout[...] 2023-09-21
[48] 웹사이트 Oriental Air Bridge Adds Nagoya and ATR42-600 Service in NS23 https://www.aerorout[...] 2023-01-23
[49] 웹사이트 Peach expands Nagoya Chubu service in late-Dec 2020 https://www.routeson[...] 2020-10-22
[50] 웹사이트 Peach NS23 Taiwan Network Expansions https://www.aerorout[...] 2023-02-02
[51] 웹사이트 Shenzhen Airlines Adds Nagoya Service From late-March 2024 https://www.aerorout[...] 2024-03-21
[52] 웹사이트 Spring Airlines Oct/Nov 2023 International Service Additions https://www.aerorout[...] 2023-11-17
[53] 웹사이트 STARLUX AIRLINES NW23 SERVICE CHANGES: SAN FRANCISCO DEC 2023 LAUNCH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3-09-05
[54] 웹사이트 Thai AirAsia X to move all flight operations back to Don Mueang Airport from 1 October 2024 https://newsroom.air[...] 2024-07-16
[55] 웹사이트 Mainland Chinese Carriers N23 Japan Operation – 02APR23 https://www.aerorout[...] 2023-04-04
[56] 웹사이트 tigerair Taiwan NW22 Operation Changes – 13OCT22 https://www.aerorout[...] 2022-10-27
[57] 웹사이트 tigerair Taiwan Adds Taichung – Northeast Asia Service in 3Q24 https://www.aerorout[...] 2024-05-14
[58] 웹사이트 Toki Air Schedules Niigata – Nagoya Launch in late-Sep 2024 https://www.aerorout[...] 2024-09-16
[59] 웹사이트 VietJet Air July 2022 Japan Network Expansion https://aeroroutes.c[...] 2022-05-09
[60] 웹사이트 XIAMEN AIRLINES ADDS HANGZHOU – NAGOYA FROM LATE-SEP 2024 https://www.aerorout[...] 2024-07-29
[61] 웹사이트 JAL resumes freighter operations from late-Feb 2024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3-12-01
[62] 웹사이트 名鉄空港特急「ミュースカイ」 – 電車のご利用案内 {{!}} 名古屋鉄道 https://www.meitetsu[...] 2019-08-30
[63] 웹사이트 名古屋・あおなみ線、中部空港まで延びる? 市が検討へ https://www.asahi.co[...] 2018-09-25
[64] 웹사이트 Centrair Limousine – Chubu Centrair International Airport, Nagoya http://www.centrair.[...] 2015-06-07
[65] 웹사이트 AIRPORT BUS http://www.sanco.co.[...] 2018-02-10
[66] 웹사이트 Nonstop Express Limousine Bus Service http://www.centrair.[...] 2018-04-01
[67] 웹사이트 Aichi Road Concession Co., Ltd. https://www.arcc.jp/[...] 2024-02-28
[68] 간행물 中部国際空港の英語名称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04-05-26
[69]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7-03-04
[70]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における国際拠点空港としての機能実現の取組み等について(中部国際空港株式会社)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2016-09-03
[71] 웹사이트 12.7 Contact list for Level 2 and Level 3 Airports https://www.iata.org[...] 日IATA 2020-11-09
[72] 웹사이트 空港の概要 - セントレアへの就航をご検討の方 | 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25
[73]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のあゆみ(1998~2005.2.17)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25
[74] 간행물 中部国際空港の愛称決定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01-05-08
[75] 웹사이트 商標出願・登録情報(結果一覧)|J-PlatPat https://www.j-platpa[...] 独立行政法人 工業所有権情報・研修館 2016-08-23
[76] 웹사이트 航空管制官公式ホームページ:全国職場紹介MAP,中部空港事務所- 国土交通省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6-08-28
[77] 간행물 航空:空港管理状況 - 国土交通省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大阪航空局
[78] 간행물 利用実績 https://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株式会社
[79] 간행물 中部国際空港 2019年国際線夏ダイヤ(期初計画)について https://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9-03-29
[80] 웹사이트 航空輸送統計年報の概要 令和 5 年度(2023 年度)分 https://www.mlit.go.[...] 2024-07-07
[81] 웹사이트 "今後の空港及び航空保安施設の整備に関する方針について-第7次空港整備五箇年計画-(答申)II 計画の概要"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7-01-21
[82] 간행물 「中部国際空港建設事業及び空港島地域開発用地埋立造成事業並びに空港対岸部用地埋立造成事業に伴う工事中の海域環境影響検討調査報告」等における環境監視結果に基づく環境省の見解について(参考1)中部国際空港について https://www.env.go.j[...] 環境省 2001-07-25
[83] 논문 中部国際空港の概要 https://doi.org/10.1[...] 電気設備学会 2019-02-15
[84]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セントレア-開港までの足跡 - 愛知県 http://www.pref.aich[...] 愛知県 2016-09-10
[85] 웹사이트 <知りたい! 世界の動き> 中部国際空港(セントレア)-中部地域における国際拠点空港の誕生- https://www.teikokus[...] 帝国書院 2016-09-10
[86] 문서 漁業補償などで周辺地域に多額の金銭が撒かれたという(『[[日経コンストラクション]]』2001年2月9日号[http://bizboard.nikkeibp.co.jp/kijiken/summary/20010209/NCR0273H_432978a.html]、『[[Wedge|WEDGE]]』2012年3月号45-46頁)
[87] 뉴스 中部国際空港の起工式 交通新聞社 2000-08-22
[88] 웹사이트 独立行政法人 造幣局 : 中部国際空港開港銀貨幣 http://www.mint.go.j[...] 造幣局
[89] 웹사이트 平成17年特殊切手「中部国際空港開港記念」の発行 https://www.post.jap[...] 日本郵便
[90] 문서 一時強風により着陸断念し[[名古屋飛行場|名古屋空港]]で待機していた
[91] 웹사이트 国土交通省広報誌「国土交通」平成17年3月号【特集】開港!中部国際空港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05-03-20
[92] 웹사이트 キラリ☆10大トピックス 結果発表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14
[93] 간행물 計器着陸装置(ILS)のカテゴリー(CAT)IIIB化について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09-02-10
[94]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のあゆみ(2009)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18
[95] 문서 '[http://www.centrair.jp/corporate/release/pdf/20120123.pdf 「昇龍道」プロジェクトについての共同記者会見を開催しました]'
[96] 문서 '[https://www.mlit.go.jp/kankocho/news04_000117.html 広域観光周遊ルート形成計画の国土交通大臣認定について]'
[97] 웹사이트 セントレア開港10周年スペシャルサイト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14
[98] 간행물 オリジナルフレーム切手『中部国際空港開港10周年記念』の販売開始 https://www.post.jap[...] 日本郵便 2015-02-10
[99] 웹사이트 ボーイング787の初号機、中部国際空港に到着 https://news.mynavi.[...] 마이 나비 2015-06-24
[100] 웹사이트 'Boeing: 787 ドリームライナー初号機(飛行試験用ZA001号機)787ドリームライナー初号機がセントレアにやってきた!' http://www.boeing.jp[...] 보잉 2016-09-19
[101] 뉴스 セントレア 世界初五つ星:トピックス:中日新聞女性向けサイト:オピ・リーナ(Opi-rina) http://opi-rina.chun[...] 2017-02-17
[102] 뉴스 セントレア直結の国際展示場「Aichi Sky Expo」公開。ビッグサイト、メッセ、インテックスに次ぐ規模 https://travel.watch[...] 트래블Watch 2019-08-08
[103] 뉴스 中部空港、新ターミナルが開業 LCC誘致課題に https://r.nikkei.com[...] 2019-09-20
[104] 간행물 中部国際空港開港15周年記念オリジナルフレーム切手の販売開始及び小型記念日付印の押印サービスについて https://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20-02-06
[105] 뉴스 中部空港、国際線の一部再開へ 6月16日にマニラ便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06-11
[106] 뉴스 「セントレアの象徴」閉店へ 披露宴600組超のレストラン https://www.chunichi[...] 中日新聞 2021-05-10
[107] 웹사이트 WORLD AIRPORT AWARDS 2021 SKYTRAX社による顧客国際空港評価 World Airport Awards 2021受賞 https://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21-08-31
[108] 뉴스 天津航空、名古屋/中部〜天津線の運航再開 4月10日から週4往復 https://www.traicy.c[...] TRAICY 2023-03-22
[109] 뉴스 ジェットスター:中部国際空港に新規就航 3月末から 毎日新聞 2013-01-26
[110] 웹사이트 新ターミナルビルなどのセントレア南側地区整備事業について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3-03-30
[111] 뉴스 中部国際空港に新ターミナル建設へ LCC就航の需要増受けて http://sankei.jp.msn[...] msn産経ニュース 2013-03-30
[112] 뉴스 関西空港の戦略に影響か!? 中部空港が“トヨタ方式”でLCCターミナル建設へ http://sankei.jp.msn[...] 2013-01-26
[113] 간행물 新ターミナルビルの整備について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株式会社 2016-05-14
[114] 웹사이트 新ターミナルビルの整備について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7-03-31
[115] 웹사이트 ジェットスター・ジャパン、中部国際空港に拠点を開設 http://www.jetstar.c[...] ジェットスター 2017-05-24
[116] 웹사이트 ジェットスターが中部拠点化、特別運賃「758円」-まずは国内線 http://www.travelvis[...] トラベルビジョン 2017-05-24
[117] 뉴스 ジェットスター、中部空港の拠点利用開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3-26
[118]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における複数滑走路の必要性(7枚目参照) http://www.carf.jp/0[...] 財団法人 中部空港調査会 専門委員 2007-09-02
[119]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における複数滑走路の必要性(7枚目参照) http://www.carf.jp/0[...] 財団法人 中部空港調査会 専門委員 2007-09-02
[120] 뉴스 読売新聞記事 読売新聞 2007-06-05
[121] 문서 2007年6月21日の国土交通省交通政策審議会航空分科会の答申 https://www.mlit.go.[...]
[122] 웹사이트 「名古屋港で発生する浚渫土砂の新たな処分場計画」 http://www.pa.cbr.ml[...] 名古屋港港湾事務所 2014-03-06
[123] 웹사이트 名古屋港浚渫土砂の新たな処分場確保 https://www.cbr.mlit[...] 名古屋港港湾事務所 2014-03-06
[124] 간행물 伊勢湾漁業影響調査(現地調査)の報道関係者公開について https://www.cbr.mlit[...] 国土交通省中部地方整備局 2015-12-06
[125] 뉴스 中部空港に2本目連絡橋 大村知事が構想新設滑走路のピーク対応でー中部経済新聞 https://www.chukei-n[...] 2023-03-22
[126] 웹사이트 Boeing: 787 Dreamliner ZA001 Flight to Japan http://www.boeing.co[...] ボーイング 2016-09-19
[127] 웹사이트 Boeing: 787 Dreamliner ZA001Coming Home Fflight Deck View http://www.boeing.co[...] ボーイング 2016-09-19
[128] 간행물 ボーイング787ドリームライナー飛行試験機(ZA001号機)の屋内展示を核とした新たな複合商業施設の整備について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株式会社 2016-05-14
[129] 간행물 ボーイング787初号機を中心とした複合商業施設について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株式会社 2016-11-12
[130] 웹사이트 常滑市役所/中部臨空都市 http://www.city.toko[...] 常滑市 2016-09-25
[131] 웹사이트 中部空港 || Costco Japan http://www.costco.co[...] コストコホールセールジャパン 2016-08-23
[132] 웹사이트 イオンモール常滑公式ホームページ :: Tax-free Counter http://tokoname-aeon[...] イオンモール常滑 2016-08-23
[133] 웹사이트 中部りんくうナビ -- 施設のご案内 http://c-rinku.jp/sh[...] 愛知県 2016-08-23
[134] 웹사이트 振興部 地域政策課 大規模展示場準備室 - 愛知県 http://www.pref.aich[...] 愛知県 2016-09-15
[135] 뉴스 2019年8月31日中日新聞朝刊9面 中日新聞 2019-08-31
[136]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6-08-23
[137] 웹사이트 セントレア・グリーンレポート 2015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8-27
[138] 웹사이트 2019年3月期 決算説明会 https://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9-08-09
[139] 간행물 中部国際空港における航空機と陸地との間の交通場所並びに貨物の積卸場所の指定について https://www.customs.[...] 名古屋税関中部空港税関支署 2019-08-09
[140]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 庁舎・管制塔(セントレア) http://www.yasui-arc[...] 安井建築設計事務所 2016-08-24
[141] 웹사이트 航空:航空管制官 公式 - 国土交通省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6-08-24
[142] 웹사이트 参考資料(1) 航空管制業務について参考資料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航空管制事務適正化検討委員会 2016-08-28
[143]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旅客ターミナルビル [愛知県常滑市セントレア一丁目1番地] | 受賞対象一覧 | Good Design Award http://www.g-mark.or[...] 日本デザイン振興会 2016-09-03
[144]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旅客ターミナルビル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6-08-27
[145]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旅客ターミナルビル│作品詳細│梓設計 http://www.azusasekk[...] 梓設計 2016-08-27
[146] 간행물 セントレア南側地区整備事業: 500番台及び601番スポットの整備着手について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5-02-04
[147] 뉴스 〔タイ国際航空〕2017年3月1日より期間限定でエアバスA380型機をセントレアに初めて投入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7-01-17
[148]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 セントレア エアポートガイド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09-09-03
[149] 웹사이트 深夜便・早朝便をご利用のお客様へ | 中部国際空港 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7-07-23
[150] 웹사이트 プラザ・プレミアム・ラウンジ名古屋 https://www.plazapre[...] プラザ・プレミアム・ラウンジ 2023-07-24
[151]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株式会社様(Baggage Handling System/旅客手荷物処理システム構築)|導入・改善事例 https://www.tksl.co.[...] トーヨーカネツ ソリューションズ 2016-08-27
[152] 웹사이트 セントレア・グリーンレポート 2009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8-27
[153] 웹사이트 メディアガイド - 中部国際空港 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05
[154] 간행물 プレスリリース 2012年11月8日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株式会社 2015-08-27
[155] 웹사이트 4階スカイタウン - フロアマップ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8-27
[156] 웹사이트 Lightscape Design Office 2005 中部国際空港 セントレア http://www.ldo.co.jp[...] Lightscape Design Office 2016-09-05
[157] 간행물 「第2ターミナル(T2)」の供用開始日について https://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9-03-28
[158] 뉴스 中部国際空港セントレア、第2ターミナル供用開始50日前セレモニー開催 https://www.kankokei[...] 209-08-02
[159] 문서 計画当初の名称は「マルチアクセスターミナル」。
[160] 웹사이트 アクセスプラザ - 交通アクセス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8-27
[161] 웹사이트 空港の施設とサービス - よくあるご質問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8-27
[162] 웹사이트 アクセスプラザの観光案内所が英語を含む3言語で対応可能なカテゴリー3の認定を受けました。 新着情報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10
[163] 웹사이트 ORALEセントレア オープン! http://www.tokoname-[...] 常滑市ボートレース事業局 2016-08-27
[164] 웹사이트 ビジネスジェット - 法人の方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18
[165] 웹사이트 セントレア24時 - 知って楽しい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18
[166] 웹사이트 ビジネスジェットの利用がさらに便利になります!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6-09-18
[167] 웹사이트 格納庫・整備サービス - ビジネスジェット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18
[168] 웹사이트 施設の概要とアクセス - エアカーゴ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8-28
[169] 웹사이트 利便性の高い貨物施設 - 施設の概要とアクセス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8-28
[170] 웹사이트 セントレアのアドバンテージ - エアカーゴ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8-28
[171] 웹사이트 総合保税地域 https://www.customs.[...] 財務省税関 2016-08-28
[172] 간행물 ~ボーイング787型機部位保管庫~ 「ドリームリフター・オペレーションズ・センター」を新設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2-04-13
[173] 웹사이트 貨物案内パンフレット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03
[174] 뉴스 ボーイング、787増産向け準備着々 セントレアの保管庫増設 http://www.aviationw[...] 2015-11-08
[175] 간행물 ドリームリフター・オペレーションズ・センター2(DOC2)新設について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5-10-30
[176] 간행물 ボーイング787型機部位保管庫 「ドリームリフター・オペレーションズ・センター2(DOC2)」 新設について http://www.boeing.jp[...] ボーイング 2016-09-03
[177] 웹사이트 常滑港について http://www.pref.aich[...] 愛知県 2013-02-14
[178] 웹사이트 「アジアNo1航空宇宙産業クラスター形成特区」について~「国際戦略総合特区」に対する愛知・岐阜地域からの提案~ https://www.pref.aic[...] 愛知県 2016-08-31
[179] 웹사이트 アジアNo.1航空宇宙産業クラスター形成特区 - 地方創生推進事務局 https://www.chisou.g[...] 内閣府 2016-09-03
[180] 간행물 ボーイング787機体構造輸送路の完成について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8-28
[181]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の機能強化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6-08-28
[182] 웹사이트 駐車場料金 - 駐車場のご案内 | セントレア https://www.centrair[...]
[183] 웹사이트 添乗員・ドライバーの方へ https://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株式会社 2020-02-18
[184] 웹사이트 EV・PHV用充電スタンド - 交通・宿泊 | 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8-21
[185] 웹사이트 ガソリンスタンド - 交通・宿泊 | 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18
[186] 웹사이트 空港島内ホテル - 交通・宿泊 | セントレア https://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9-08-08
[187] 간행물 セントレア初の旅客ターミナルビル内カプセルホテルTUBESq」の新規オープンについて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11-07
[188] 웹사이트 〔4月8日(土)〕「TUBE Sq(チュウブ・スクウェア)」グランドオープン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7-03-17
[189] 웹사이트 中部りんくうナビ -- ショッピング&サービス:楽しむ&泊まる http://c-rinku.jp/sh[...] 愛知県 2016-08-23
[190] 웹사이트 【平成27年5月16日】 航空局飛行検査センター格納庫落成・移転記念式典にうえの政務官が出席 - 国土交通省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6-08-28
[191] 웹사이트 大阪航空局_大阪航空局のご案内_管内空港の現況と出先機関_中部国際空港 http://ocab.mlit.go.[...] 国土交通省 2016-08-24
[192] 웹사이트 各事務所の住所・電話番号・交通アクセス|第四管区海上保安本部 https://www.kaiho.ml[...] 海上保安庁 2016-08-24
[193] 웹사이트 中部航空地方気象台 https://www.jma-net.[...] 気象庁 2016-08-24
[194] 웹사이트 中部空港支局 | 入国管理局 http://www.immi-moj.[...] 法務省 2016-08-24
[195] 웹사이트 中部空港税関支署 : 名古屋税関 Nagoya Customs https://www.customs.[...] 財務省 2016-08-24
[196] 웹사이트 中部外郵出張所 : 税関 Japan Customs https://www.customs.[...] 財務省 2016-09-09
[197] 웹사이트 愛知県/名古屋税関麻薬探知犬管理センター https://www.cbr.mlit[...] 国土交通省 2016-09-09
[198] 웹사이트 名古屋検疫所 所在地 https://www.forth.go[...] 厚生労働省 2016-08-24
[199] 웹사이트 動物検疫所/中部空港支所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16-08-24
[200] 웹사이트 愛知県警察/中部空港警察署 http://www.pref.aich[...] 愛知県 2016-08-24
[201] 웹사이트 常滑市役所/消防本部(署)・出張所の所在地/電話番号 http://www.city.toko[...] 常滑市 2016-09-05
[202] 웹사이트 中部国際郵便局 (愛知県) http://map.japanpost[...] 日本郵政 2016-09-09
[203] 웹사이트 常滑郵便局セントレア分室 (愛知県) http://map.japanpost[...] 日本郵政 2016-08-24
[204] 웹사이트 診療所 - 困ったときは | 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8-27
[205] 간행물 「アカモク」 3月30日から販売開始! - 中部国際空港 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2-02-28
[206] 웹사이트 グローバルネットワーク(ワンワールド) https://www.jal.co.j[...] 日本航空 2023-10-16
[207] 웹사이트 運航路線 ANAウイングス - ANA WINGS - http://www.anawings.[...] ANAウイングス 2019-10-22
[208] 웹사이트 ジェットスター・ジャパン、第4拠点検討 機能限定型も視野 https://www.aviation[...] Aviation Wire 2019-10-22
[209] 웹사이트 「名古屋(中部)-札幌(新千歳)、仙台線」の運航を開始 https://corporate.fl[...] Peach Aviation 2023-02-26
[210] 뉴스 オリエンタルエアブリッジ、名古屋/中部を第3拠点化 宮崎・秋田線開設 https://www.traicy.c[...] TRAICY 2023-03-27
[211] 뉴스 DHL Express、日米貨物路線を拡充 https://www.dhl.com/[...] DHL
[212] 뉴스 中部空港、国際線が週255便→ゼロに 開港以来初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03-26
[213] 문서 ANAウイングス
[214] 웹사이트 https://smart.skymar[...]
[215] 문서 全日本空輸(ANA)とのコードシェア
[216] 문서 日本航空(JAL)とのコードシェア
[217] 문서 日本航空(JAL)とのコードシェア(JAL国際線との乗り継ぎ時のみ)
[218] 간행물 航空:空港管理状況 - 国土交通省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大阪航空局 2016-09-03
[219] 뉴스 2月19日より自社貨物専用機の運航を開始 https://press.jal.co[...] 日本航空 2023-12-01
[220] 뉴스 DHLエクスプレス、シンガポール航空運航の777Fでアジアと北米結ぶ新路線 中部へ週6便乗り入れ https://www.traicy.c[...]
[221] 뉴스 エアプレミア、中長期計画を発表 2027年までには15機体制以上とし日本路線は大阪/関西・名古屋/中部・福岡線を開設へ https://sky-budget.c[...]
[222] 뉴스 タイの新エアラインのリアリークール航空、名古屋/中部~バンコク線の開設を検討 https://sky-budget.c[...]
[223] 뉴스 ジェットスター、国内6路線を廃止 庄内からLCC無くなる https://flyteam.jp/n[...] FlyTeam 2023-11-19
[224] 간행물 中部国際空港とペインフィールド空港が協力覚書 https://www.traicy.c[...] Traicy 2015-04-14
[225] 간행물 台中国際空港との友好空港提携覚書締結について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7-04-06
[226] 간행물 中部国際空港とシアトル・タコマ国際空港、友好空港提携 https://www.traicy.c[...] Traicy 2018-10-11
[227] 간행물 ベトナム・ダナン空港と友好提携 中部空港 https://www2.ctv.co.[...] 中京テレビ 2019-02-21
[228] 웹사이트 AWARD受賞実績 - 笑顔とおもてなしの心をお客様に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04
[229] 웹사이트 The world's 5 Star Airports スカイトラックス 2017-03-04
[230] 웹사이트 The World Airport Awards スカイトラックス 2016-09-22
[231] 웹사이트 The World's Top 100 Airports in 2015 http://www.worldairp[...] Skytrax
[232] 웹사이트 The World's Top 10 Airports スカイトラックス 2016-09-22
[233] 웹사이트 世界中のお客様に支えられ SKYTRAX WORLD AIRPORT AWARDS 2023 Regional空港部門で9年連続で世界一になりました。 https://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23-03-22
[234] 웹사이트 ASQ Awards http://www.aci.aero/[...] 国際空港評議会 2016-09-22
[235] 웹사이트 ASQ2012年の結果のお知らせ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株式会社 2013-03-12
[236] 웹사이트 ACI Director General's Roll of Excellence http://www.aci.aero/[...] 国際空港評議会 2016-09-22
[237] 웹사이트 ACI(国際空港評議会)選出『エクセレントエアポート』を受賞 - 新着情報 | 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22
[238] 웹사이트 定時出発率評価における「中規模空港部門」で世界第1位を獲得 https://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23-03-08
[239] 웹사이트 特殊橋梁2|橋梁設計|橋梁・トンネル|交流|業務案内| http://www.nakanihon[...] 中日本建設コンサルタント 2016-09-05
[240]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連絡鉄道橋 http://www.cantileve[...] カンチレバー技術研究会 2016-09-05
[241]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国際競争力強化プロジェクト http://www.pa.cbr.ml[...] 国土交通省 中部地方整備局 港湾空港部 2016-08-21
[242] 웹사이트 電車でのアクセス - アクセス方法|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23-02-06
[243] PDF 武豊線の近代化促進に関する要望 http://www.handa-cci[...]
[244] 웹사이트 知多バス時刻表 空港貨物地区循環線 http://www.chitabus.[...] 知多乗合 2016-09-10
[245] 문서 三菱UFJ信託銀行
[246] 간행물 セントレアにおける水素を燃料として走行する燃料電池バスの導入事業に対する寄付について https://www.mufg.jp/[...] 三菱UFJフィナンシャル・グループ他5社共同リリース 2024-01-22
[247] 간행물 水素社会の実現に向けて 燃料電池バス運行開始 https://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24-01-24
[248] 웹사이트 バスでのアクセス - アクセス方法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20-02-18
[249] 웹사이트 名古屋市内-セントレア(セントレアリムジン) http://www.meitetsu-[...] 名鉄バス 2016-11-06
[250] 웹사이트 名古屋バス株式会社 http://www.nagoyabus[...] 名古屋バス 2016-11-06
[251] 보도자료 「中部国際空港-名古屋駅 名古屋駅」で深夜早朝に乗合バスが定時定路線走行 https://wwwtb.mlit.g[...] 国土交通省 2016-09-13
[252] 웹사이트 三重交通 高速バス 桑名中部国際空港高速線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11-06
[253] 보도자료 レゴランドの開業に伴いバスアクセスが整備されます~セントレア・名古屋港・桑名駅からレゴランドへ~ https://wwwtb.mlit.g[...] 国土交通省 2017-03-06
[254] 웹사이트 空港直行バス e-wing(イーウイング) https://bus.entetsu.[...] 遠鉄バス 2021-11-22
[255] 웹사이트 高速船でのアクセ - アクセス方法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03
[256] 뉴스 松阪ベルラインに幕、最終便見送る 運航10年:三重 https://web.archive.[...] 2016-12-23
[257] 웹사이트 津エアポートライン高速船・三重交通特急バスのご案内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11-06
[258] 뉴스 高速船「松阪ベルライン」12月19日最後に運航廃止 https://www.nikkei.c[...] 2016-10-21
[259] 웹사이트 津エアポートライン、12月19日で松阪航路を廃止 津航路に一本化 https://www.traicy.c[...] TRACY 2022-08-13
[260] 문서 NHK三重放送局ニュースより。セラヴィ観光汽船が撤退を表明。また、四日市港-中部国際空港間の航路も他社に譲渡を検討。
[261]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の空港タクシー|トップ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構内タクシー営業会 2016-08-31
[262] 웹사이트 タクシーでのアクセス - アクセス方法 | 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04
[263]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セントレア直行便運休のご案内 http://www.alpico.co[...] アルピコタクシー株式会社 2019-07-18
[264] 웹사이트 レンタカーのご案内 - 交通アクセス |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8-21
[265] 보도자료 レンタルバイクを活用した中部・北陸へのインバウンド誘客施策『昇龍道バイクツアー』を催行 https://www.atpress.[...] MOTO TOURS JAPAN 2019-10-09
[266] 문서 そのため、自転車・原付は対岸の[[りんくう常滑駅]]などに駐車・駐輪をしてから名鉄空港線への乗り換えを要する。
[267] 웹사이트 アランジアロンゾさんからのメッセージ http://www.aranziaro[...] 2014-01-26
[268] 웹사이트 セントレアフレンズ http://www.centrair.[...] 2014-01-26
[269] PDF 「セントレアフレンズ」新キャラクターについて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05-01-17
[270]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のあゆみ(2016)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7-11-04
[271]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セントレアイメージソング「翼があるなら」八神純子【公式】 https://www.youtube.[...] office J 八神純子【公式】 2017-11-04
[272] 웹사이트 撮影実績 - ロケ・撮影・取材のご案内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10
[273] 웹사이트 中部国際空港セントレア ロケ・撮影ガイド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13
[274] 웹사이트 巨大空港の改革者たち 〜トヨタ式VS松下式〜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 2005-02-15
[275] 웹인용 国際線発着調整事務局の業務概要 http://www.schedule-[...] 日本航空協会 2017-01-21
[276] 웹인용 空港の概要 - セントレアへの就航をご検討の方 | セントレア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25
[277] 웹인용 中部国際空港のあゆみ(1998~2005.2.17) http://www.centrair.[...] 中部国際空港 2016-09-25
[278] 웹인용 KOREAN AIR MAY/JUNE 2023 MUAN – NAGOYA CHARTER OPERATIONS https://www.aerorout[...] 2023-05-05
[279] 뉴스 진에어, 9월에 인천∼나고야 노선 신규 취항 https://www.yna.co.k[...] 2023-07-07
[28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3-08-07
[281] 웹인용 JAL resumes freighter operations from late-Feb 2024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3-12-01
[282] 웹인용 2007년 항공 수송 통계 http://www.mlit.go.j[...] 국토교통성 2013-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